
기사등록 : 2013-03-28 08:59
[뉴스핌=함지현 기자] 민주통합당이 4·24 재보궐 선거에서 열세로 분류되는 부산 영도지역에 대선후보를 지냈던 문재인 의원을 투입해 '격전지'로 만들 뜻을 시사했다.
하지만 의미 있는 선거결과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으니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 |
<민주통합당 문재인 의원 [사진=김학선 기자]> |
민주당에서는 서울 노원병 지역을 무공천 했는데 새누리당의 우세지역으로 분류되는 충남 부여·청양과 영도까지 싱겁게 내 준다면 제1야당으로서의 존재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을 받았다.
때문에 대선주자로 나섰던 중량감에 부산 지역구 의원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해 문 의원을 다시 정치 전면에 소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중량감이 실제 투표의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고개를 들고 있다.
문 의원이 전면에 나선다면 선거가 '박근혜 대 문재인', 혹은 '김무성 대 문재인'의 구도로 흐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 책임의 소재도 문 의원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최소한 6:4 정도의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면 문 의원의 가능성과 부산지역에서의 아성 등이 굳건히 되는 계기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현재 영도 쪽 구도가 너무 좋지 않아 민주당의 누가 가서 지원하고 나선다고 해도 승리의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이라며 "만약 열심히 도왔음에도 의미 있는 지지율이 나오지 않는다면 (문 의원에게)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같은 분석은 이번 재보궐 선거를 대선 패배 이후 정치 일선에서 한발 물러서 있는 문 후보의 정치적 위상을 세워주기 위한 장이 아니냐는 시각과도 맞닿아 있다.
이 관계자는 "친노·주류측에서 대선 이후 움츠려있는 문 의원이 기지개를 켜도록 해주고 싶어 괜히 기대감을 부풀리는 쪽으로 갈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역시 문재인'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의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의미를 크게 부여하면 할수록 책임지는 양이 더 많아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대통령 선거가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문 의원이 다시 전면에 나서는 것 자체가 무리가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
명지대 김형준 교수는 28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우리 정치문화상 선거 결과에 대해서 전폭적으로 승복한다는 것들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있기 때문에 새 정부가 바로 출범하자마자 전직 후보가 나와서 참여한 적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지난 1993년, 1998년, 그리고 2003년도 그렇고 이 세 번의 선거 출범 후에 재보궐 선거가 있었지만 전직 후보가 나와서 도운 적은 없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더 나아가서 문 의원은 민주당으로 봐서는 어느 정도 자산인데 이 선거에서 직접 투입돼 선거 운동을 하면서 만약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경우에 올 수 있는 실이 득보다 훨씬 많다"며 "굉장히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문 의원측에서는 아직 당의 입장이 결정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요청을 받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당의 논의가 정리되는 대로 입장을 결정할 방침이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지만 당의 공식 요청이 있다면 문 의원이 일단은 선거를 돕기 위해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하지만 그 수위가 어느 정도여야 할지를 놓고는 고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함지현 기자 (jihyun03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