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13-07-04 08:45
원천핵심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10대 세계일류 정보보호 제품개발 등으로 미래 정보보호 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최고기술 대비 수준을 90%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술정보 제공 및 거래장터 구축, 연구개발 및 시험인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정보보호 코디네이터 육성 등 정보보호 핵심기술의 상용화 기반 구축과 비즈니스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창조경제 성장과 안전한 사이버세상의 첨병으로 정보보호 산업을 리드하는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정부는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을 위해 초·중·고 정보보호 관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세계 최고수준의 해킹방어대회를 지원한다.
박 국장은 "화이트해커 양성 계획에 따른 3000명과 추경으로 확보한 예산을 통해 추가 인력까지 더해 약 5000명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렇게 양성한 정보보호 인력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선순환체계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정보보호 인력의 3대 고민으로 꼽히는 진학·군복무·취업의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 국방부·고용부·병무청 등과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로벌 정보보호 기업 육성에도 집중한다. 정부는 오픈이노베이션랩과 정보보호산업 종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해 정보보호 1인기업 및 벤처 창업을 촉진한다. 더불어 불합리한 발주관행을 개선해 '제 값 받는 문화'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해외 M&A 촉진을 위해서는 중기청 모태펀드와 창조펀드 등을 활용해 M&A 투자를 지원하고 매물 발굴 및 M&A 정보, 희망 기업의 정보를 수집해 전문가 1:1 매칭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 같은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정보보호 기업발전과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며 관련 산업의 거버넌스 정립을 위해 (가칭)정보보호산업 진흥법 제정을 검토하고 있다.
박 국장은 "국가성장 및 삶의 질 제고의 원동력이 되는 사이버세상의 안정적 발전과 진화는 정보보호산업을 동반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며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보안이 골칫거리가 아닌 보안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서영준 기자 (wind09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