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15-06-16 15:18
![]() |
`긴축발작` 이후 신흥시장 취약성 강화 <출처=세계은행 보고서> |
◆ 터키·브라질 등 중동·남미 '위험' vs 아시아는 인니 제외하면 '선방'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달러화 강세에 취약한 통화를 보유한 남미와 중동을 위험군으로 지목했다. 반면 아시아는 최근 자금유출이 발생한 중국을 제외하면, 인도네시아가 위험군으로 꼽혔다.
![]() |
신흥시장의 외환 익스포저 변화 <출처=세계은행 보고서> |
샘버 디렉터는 "중국에서 자금이 많이 빠졌지만 아시아 전체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유출이 심하지 않을 것"이라며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린다 하더라도 상대적인 선방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투자은행 모간스탠리도 달러화 강세와 선진국 금리 급등, 신흥국 자산의 고평가를 고려하면, 달러 강세에 취약한 통화를 보유한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신흥국이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개별 국가로는 최근 정국 불안에 통화가치가 폭락한 터키와 경기침체에 빠진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지목했다. 아시아에서는 강달러로 달러화 표시 회사채를 보유한 기업이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가 꼽혔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마리오스 마라세프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는 1990년대 외환위기와 2013년 테이퍼링 당시보다 순해외자산 규모가 늘었고 경상수지도 건전하다"며 "환율체계 역시 유연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데 용이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미국 경기회복에 힘입어 한국 경제가 선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캐피탈이코노믹스는 신흥국 주식시장이 오히려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 경기 회복을 시사하며, 미국이란 거대한 수요가 회복되면 신흥국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다.
이들은 향후 수개월간 신흥국 주식 시장에 유입된 저가 매수세에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시장지수가 연말 1095포인트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지수는 970포인트에 머무르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