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5-08-27 12:00
[뉴스핌=정연주 기자] 메르스 여파에 타격을 받았던 서비스업종들이 7월초부터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소매점 매출 등이 전년 수준을 회복했다. 다만 외국인 관광객 감소세가 지속돼 관련된 호텔 등의 업황은 여전히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한은은 '지역경제보고서(2015년 8월, 이하 골든북)'에서 "메르스 발생 이후 크게 악화됐던 서비스업황은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은 7월초부터 회복됐으며, 8월에는 대형소매점 매출, 여가서비스 이용객 수 등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외국인 관광객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어 외국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가, 호텔, 면세점 등은 업황 부진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 |
<자료제공=한국은행> |
대부분 회복세를 보였던 여가서비스업 중 놀이공원 업종이 외국인 관광객 수 감소의 영향을 받고 있다. 입장객 수를 보면 7월 하반월부터 감소폭이 축소되고 있으나 중국인 등 외국인 방문객 수 회복 지연으로 예년의 70~80%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면세점의 경우 6월중 매출이 전월대비 41%나 급감하고 구매인원도 28% 줄었다. 신규 환자가 발생하지 않은 7월 첫 주를 저점으로 매출액이 늘었지만 메르스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외국인 구매비중이 높은 시내 소재 면세점이 출국장 면세점 보다 매출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숙박업도 내국인 이용비중이 높은 강원·제주권의 콘도미니엄 및 펜션의 업황은 7월 이후 빠르게 회복되는 반면 외국인 단체 관광객의 숙박비중이 높은 일부 호텔의 경우 6∼7월중 객실 점유율이 대폭 하락하고 매출도 60% 이상 급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음식업도 내국인 이용비중이 높은 업소는 회복세를 보였으나 수도권과 제주권의 외국인 이용이 높은 음식점은 8월에도 부진했다.
장 실장은 "외국인 관광객 모집부터 실제 방한까지 걸리는 시간이 2~3개월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외국인 관광객 수가 종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 |
주 : 1) 제조업생산 모니터링지수와 서비스업생산 모니터링지수를 GRDP 각 업종 부가가치 비중으로 가중평균하여 구한 종합 모니터링지수를 근거로 평가함 <자료제공=한국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