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국채/전망] 미 물가 주목, '안전도피' 매수 예상
기사등록 : 2015-11-18 10:43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미국 장기 유가증권으로 외국인 자금이 8개월 연속 순유입된 가운데, 중국과 일본은 9월에 미국 국채 보유량을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은 위안화 가치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매도, 미 국채 보유량이 7개월 만에 최저치로 내려가는 등 브라질과 함께 자국통화 방어를 위한 외환 매도를 지속했다.
![]() |
국가별 미 국채 보유량 <출처=미 재무부> |
17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9월에 중국은 미 국채 보유량을 120억달러 축소해 월말 기준 보유액은 1조2580억달러로 집계됐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7개월래 최저치로 줄였지만 여전히 세계 최대 규모다.
일본은 200억달러가 줄어든 1조1771억달러로 2013년 10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지만, 역시 중국에 이어 미 국채 보유 2위 국가에 올라 있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9월 중 중국과 일본 외에도 캐러비언금융중심지, 석유수출국과 브라질 등 미 국채 최대 보유 5위 국가들이 모두 보유량을 줄여 미 국채 수익률을 끌어 올렸고 (가격하락) 이로 인해 미 국채금리가 스왑금리를 크게 웃도는 이상 역전현상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대개 스왑 금리는 은행의 부도 위험을 반영하기 때문에 국채금리보다 높지만 최근에는 스왑 스프레드가 마이너스 영역으로 들어선 뒤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는 역전 현상이 심화됐다.
![]() |
미 스왑 스프레드 추이 <출처=F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