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15-12-01 09:30
[뉴스핌=정연주 기자] 원/위안화 서울 직거래시장이 출범 1년을 맞았다. 거래량이 1년새 3배 넘게 늘며 덩치를 키우고 있다. 다만 질적 성장은 아직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역결제 등 실수요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시급하단 평가다.
1일 한국은행 등 외환당국에 따르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일평균 거래량은 개설 직후인 지난해 12월 8억8000만달러에서 올해 10월 26억4000만달러로 늘었다. 1년간 평균 거래량은 22억달러다. 11월(27일 현재)에는 평균 36억5000만달러를 육박했으며 지난 11월 3일에는 하루동안 52억달러가 거래되기도 했다. 개설 후 1년만에 3~4배 가까이 거래량이 증가한 것이다.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은 지난해 12월 1일 개설됐으며 중국 교통은행이 청산결제은행으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 등이 대중국 거래를 하면서 달러를 이용하지 않고 원화와 위안화로 직접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의 대중 무역이 전체의 21%에 달하는만큼 무역결제시 편의성·수익성 증대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애초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은 실패했던 원/엔 시장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였다. 원/엔 시장은 지난 1996년 개설 후 거래 부진으로 4개월만에 문을 닫은 바 있다. 이와 비교해보면 원/위안화 시장은 '선방했다'는 평을 받는다. 정부도 시장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인센티브 지급 등 여러 당근책을 제시했다.
다만 최근 양적 측면의 성과는 참여자들이 필요에 의해 시장을 이용했다기 보단 시장조성자로 선정된 은행간 거래 때문으로 풀이된다. 무역결제통화 구조가 미국 달러화에 쏠려 있는 가운데 직거래 시장을 이용하고 싶어도 '참여 유인'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다수의 은행들은 최근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상하이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개설하기로 결정되자 청산은행 선정을 위한 실적 쌓기에만 몰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위안화 서울 직거래시장 참여 기관은 KB국민, 신한, 우리, IBK기업, KDB산업, SC, KEB하나 등 국내 7곳과 중국 교통은행, 공상은행, 중국은행, JP모건, 홍콩상하이은행(HSBC) 등 외국계 5곳이다.
실제 선물환시장 분위기는 무역결제가 부진해 여전히 어둡다. 선물환은 무역결제시 환 위험을 덜고자 이용할 수 있다. 지난 10월 5일 개장한 위안화 선물시장의 경우 거래량은 일평균 7000만원, 누적 거래량은 26억5000만원에 그쳤다. <참고:위안화 선물시장 개설…은행·운용사 "관심 없어">
위안화 관련 파생시장인 원/위안화 통화스왑시장 거래도 상반기까지 총 3건(3일물이상)에 불과했다. 그중 정부 지분이 절반 이상(51.04%)인 우리은행이 2건을 거래했을 뿐이다. 사실상 상징적인 거래에 불과했던 것이다. <참고:원/위안화 스왑시장 거래 단 3건..허탈한 외환당국>
시장조성자인 A 은행 외환딜러는 "은행들이 상하이 시장에서 혹여 수익원을 찾을 수 있을까 싶어 선정되기 위해 참여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며 "장기적으로 달라질 수 있겠지만 현재로썬 아직 직거래 시장의 성장 동력을 찾기 어렵다 보고 있다"고 말했다.
![]() |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지난 10월 31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양국 정상은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상하이에 개설하기로 합의했다. <사진=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