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영태 기자] 북한이 5일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항저우(杭州)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한중정상회담을 마치자마자 황해북도 황주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했다.
![]() |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3월11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탄도미사일 발사훈련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탄도미사일 발사 훈련에는 황병서 총정치국장, 리병철 군수공업부 재1부부장 ,홍승무 군수공업부 부부장, 김정식 당 중앙위 부부장, 윤동현 인민무력부 부부장 등이 동행했다. <출처=노동신문/뉴시스> |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늘 낮 12시 14분께 황해북도 황주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했다"며 미사일 종류와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지난달 24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한 지 12일 만이다. 북한의 정권수립 기념일(9·9절)을 나흘 앞둔 시점이다.
군 당국은 북한이 올해 68주년을 맞은 9·9절(정권수립 기념일)을 앞두고 무력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해 왔다. 북한은 2014년 9월 초에도 정권수립 기념일을 앞두고 두 차례 단거리미사일을 발사했으나 남북 간 고위급 접촉을 통해 8·25 합의가 이뤄졌던 지난해에는 무력시위를 하지 않았었다.
앞서 군 당국은 9·9절을 앞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준비 정황을 사전에 포착해 면밀하게 추적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미사일 발사는 북한이 중국 항저우에서 열리고 있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기간 중 국제사회의 대북압박에 맞선 무력도발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전날부터 시행에 들어간 북한인권법의 영향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G20을 계기로 열린 한중 양자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한중관계 발전방안 등에 대해 46분간 논의했다.
북한은 올해 초 4차 핵실험을 감행한 이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핵투발능력을 갖춘 미사일 기술력을 강화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지난 3월 '여러 종류의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탄도로켓 시험발사'를 독려했고 지난달 24일 SLBM 시험발사장에서는 "모든 사변적인 행동조치들을 다계단으로 계속 보여라"고 지시했다.
군은 북한이 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지속적으로 감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