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나래 기자]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임을 전제로 했다. 2007년 11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에서 북한의 의견을 묻자는 제안은 김만복 전 국정원장에 처음 내놨으며 이를 당시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수용했다는 것이다.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는 19일 서울 내곡동 청사에서 열린 정보위 국정감사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 |
19일 오전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한 이병호(왼쪽) 국정원장과 최윤수 2차장이 자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이 의원은 김 전 원장이 제일 먼저 북한에 의견을 물어보자고 제기한 게 맞느냐는 질의에 이 원장이 "맞다 .황당하고 이해가 안된다"며 "참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 원장은 이어 "문 전 비서실장이 김 전 원장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그렇게 하자고 결론을 낸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개인적인 생각으로 맞다'고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김 의원이 "자료에 근거한 것이냐는 질문하자 이 원장이 자료를 본 것은 없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당시 북한의 의견이 담겼다는 쪽지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정보 사안이기 때문에 NCND(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음) 원칙이 적용돼 말하기 어렵다"며 "과연 쪽지의 사실 여부를 확인했을 때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되느냐 하는 기준에서 볼 때는 지금 말할 시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회고록이 구체적이고 사리에 맞기 때문에 사실이나 진실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북한 인권 결의안 기권이 최종결정된 시점이 20일이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북한의 최근 동향과 관련해서는 이 원장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최근 신변불안으로 외부행사의 일정과 장소를 갑자기 바꾸고, 폭발물·독극물 탐지장비를 해외에서 도입하는 등 경호를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사나흘에 걸친 밤샘 술파티 등으로 과음·과식 등 무절제한 생활을 이어가면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 한·미의 참수작전(유사시 북한 최고지도부를 제거하는 작전)과 공격목표 시설, 미국의 전략폭격기 파괴력 및 특수부대 규모 등의 파악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국내로 입국한 탈북민의 규모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 정도 증가했다고 전했다.
한편 이 원장은 최순실 씨와 관련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기업과 접촉했는데 국정원과 연계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아는 바 없다. 알아보겠다"고 대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핌 Newspim] 김나래 기자 (ticktock032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