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허정인 기자] 오는 1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 결정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입에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기준금리는 현 수준인 1.25%로 동결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이 총재가 경기 하방 리스크를 강조한다면 내년 중 금리인하 기대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12일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기정사실이 된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국내 국정 공백, 가계부채 1300조원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이제 시장의 관심은 내년 경제성장률과 통화정책이다.
한국은행을 제외한 주요 기관들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지난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는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7%에서 2.4%로 낮췄다. KDI는 “미국의 대선 결과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져서 하향 조정했고 최근 불거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2.4%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지난달 28일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3%에서 2.6%로 조정했다. 수출부진(세계교역 회복세 지연), 노트7 생산중단(휴대전자 산업에서의 문제), 정치적 불확실성 등을 근거로 꼽았다. 이외에 금융연구원 2.5%, LG경제연구원 2.2%, 현대경제연구원 2.6% 등을 내년 성장률로 전망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2.8%를 제시했다. 이주열 총재는 “부문별로 민간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겠고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제여건 개선으로 내년 중 증가세로 전환, 상품수출은 세계교역의 점진적 회복으로 완만하게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당시에도 2.8% 성장은 낙관적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한은이 삼성전자의 노트7 생산중단을 반영하지 않았고, 선진국과 일부 신흥국을 중심으로 내년도 세계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보고 예측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더욱 복잡해졌다. 트럼프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세계교역이 얼어붙을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이 내년에 2~3차례에 거쳐서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 금융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국내는 국정 공백으로 인한 민간소비 침체, 설비투자 감소 등 여러 악재가 겹쳐있는 상황이다.
김상훈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경기 눈높이가 낮아지겠고 다음달 수정경제전망에서 낮춰 발표할 것으로 본다”면서 “10월까지만해도 긍적적인 톤이었으나 11월 의사록을 보면 한 두명의 금통위원이 금리인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공동락 코리아에셋투자증권 연구원은 “우선 한은의 전망치가 몇 달 전 것이고, 그 동안 엄청난 이벤트들이 있었기 때문에 경기전망에 대한 톤이 10월보단 우울해질 것으로 본다”면서 “총재가 기자간담회를 통해 경기하방리스크가 크다 정도로 언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편 지난달 29일에 발표된 11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추가적인 통화완화책의필요성을 언급하며 “내년 2.8% 성장 전망은 대외여건의 호조를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대외여건의 변화 가능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경제상황이 현재 전망보다 악화될 경우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강화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