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나래 기자] 새누리당 윤리위원회는 친박(친박근혜)계 지도부가 윤리위원 8명을 친박계로 충원하자 전격 사퇴를 선언했다. 또 윤리위는 이날 이진곤 위원장을 비롯한 기존 윤리위원 7명이 모두 사퇴하기로 했으며, 이날 강의 때문에 연락이 닿지 않는 심재철 고려대 교수를 제외한 6명은 즉각 물러난다고 밝혔다.
![]() |
새누리당 윤리위원회 이진곤 위원장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징계 요구안을 심의하기 위한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진곤 윤리위원장은 13일 긴급회의를 통해 "여기에 남아 있어야 할 이유가 없어졌다"면서 "오늘부터 윤리위원장직을 사퇴한다"고 밝혔다.
그는 "윤리성 제고 등 당면과제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의견을 통일해서 대통령을 보호하는 일에만 급급하다면 그런 윤리위원회는 들러리밖에 더 되느냐"면서 "여기에 앉아 있는 게 대단히 불쾌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당 지도부가 윤리위원 추가 임명에 대해 자신과 전혀 상의하지 않았다고 전한 뒤 "최고위원회가 임명권을 갖고 있는 것은 알지만 이렇게 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앞서 이정현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윤리위원에 박대출·이우현·곽상도·이양수 의원과 원외 인사 4명 등 모두 8명을 추가 임명하기로 의결했다.
이들 위원은 모두 주류 친박계로 분류돼 비박계에서는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 등의 출당 작업을 본격화하는 한편 박 대통령 징계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내놨다.
친박계는 윤리위원회를 친박계로 채워 비박 핵심인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 등의 출당과 함께 박 대통령 징계 결정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김나래 기자 (ticktock032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