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황유미 기자]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오는 12일 서울 대치동 특검사무실에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특검은 11일 이재용 부회장 측에 소환 일정을 알렸다며 삼성과 특검 출석일 등 해당사항에 대해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이 부회장 출석일은 12일 또는 13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 부회장이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에 따른 대가 등으로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의 활동 지원 등에 나섰다고 보고 있다. 해당 합병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문제가 걸려있는 사안이었다.
이 부회장의 혐의 입증은 박근혜 대통령의 제3자 뇌물죄 혐의 규명과도 맞물려 있는 특검의 최대 수사 과제다. 물론 이 부회장과 최씨도 제3자 뇌물죄가 적용된다.
삼성물산 합병은 2015년 7월 청와대에서부터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의 지시라인을 통해서 이뤄진 것으로 특검은 보고 있다. 당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민연금으로 기금운용본부 내 투자위원회에서 찬성결정을 내도록 종용했다.
특검은 청와대의 지시를 통해 문형표 전 장관이 삼성물산의 대주주인 국민연금에 두 회사에 합병을 찬성하라고 압력을 넣은 것으로 보고있다.
삼성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204억원을 출연했다. 대기업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또 삼성은 정유라씨의 승마훈련을 위해 최씨의 페이퍼컴퍼니인 독일코레스포츠에 35억원(280만유로), 최씨의 조카 장시호씨가 운영하는 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16억원 등을 지원한 의혹을 받고 있다.
삼성은 지금까지 "박 대통령의 압박에 못 이겨 최씨를 지원했다"고 주장했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을 상대로 2015년 7월과 지난해 2월 박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오간 이야기 내용과 최씨 지원이 박 대통령 요청에 따른 것이었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특검이 이 부회장의 소환을 통보한 데는 최 씨의 조카인 장시호씨가 특검에 제출한 태블릿PC의 역할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5일 장씨 측이 특검에 태블릿PC를 제출했고 그 안에는 삼성이 최순실 일가를 지원한 것에 대한 이메일이 포함돼 있다.
이 부회장에게 위증 혐의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 부회장은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나와 "최씨 지원 사실을 문제가 되고 난 이후에야 보고받았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해당 발언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질 경우 특검팀은 이 부회장에게 위증 혐의도 추가할 전망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 9일 관련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최지성 삼성그룹 부회장과 장충기 사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은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으나, 이 부회장의 소환이 임박하면서 피의자 신분으로 바뀔 것이란 게 특검 주변의 시각이다.
[뉴스핌 Newspim] 황유미 기자 (hum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