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세훈 기자] 바른정당이 도무지 마음을 열지 않는 보수층을 향해 '지도부 총사퇴' 카드를 내보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보수적통 경쟁에서 자유한국당을 밀어내고 우위에 서겠다는 절박한 승부수다. 빈 지도부 자리에 한국당 탄핵파 의원들과 외부 인사를 영입해 외연을 확대하고 정국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 |
바른정당 정병국 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정 대표는 '바른정당의 초대 당 대표로 소임을 다 했다고 전하며 당 대표직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사진=뉴시스> |
정병국 바른정당 전 대표는 10일 박 전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되자 곧바로 사퇴의사를 밝혔다. 최고위원들도 동반하는 '지도부 총사퇴'였다. 정 전 대표는 "당세의 확장과 국민 대통합을 위해 백의종군하고자 한다"며 사퇴 이유를 설명했다.
정치권에 따르면 정 전 대표의 이런 판단은 갑작스러운 일이 아니다. 당의 외연 확장과 쇄신은 바른정당이 풀어야할 과제로 지목돼 왔다. 창당 이후 보수층의 마음을 얻지 못하면서 당이 깊은 침체로 빠져들었기 때문이다. 당 지지율은 한국당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비교섭단체인 정의당에게 밀려 5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당내 한 의원은 "뭘 해도 안되는 현실"이라고 한탄하기도 했다.
지도부 총사퇴와 박 전 대통령 탄핵은 바른정당에게 도약의 기회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우선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면서도 자유한국당에 머물고 있는 탄핵파 의원들이 바른정당행을 택할 수 있다. 점차 강화되는 한국당의 수구 이미지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의 서청원·최경환·윤상현·조원진·김진태·박대출·이우현·민경욱 의원 등이 12일 박 전 대통령을 맞이하기 위해 삼성동 사저 앞에 모였다. 앞으로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은 태극기집회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 과정을 계기로 세 규합에 나설 태세를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부 탄핵파 의원들이 바른정당으로 옮길 수 있다.
외부 인사 영입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당초 국민의당 입당이 유력했던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입장을 선회해 바른정당행이 점쳐지고 있다. 12일 남경필 경기지사와의 대연정 토론회에선 "바른정당이 제일 매력적이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종인 전 의원 영입설도 꾸준히 오르내리고 있다. 김 전 대표는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를 만난 데 이어 김무성 바른정당 고문과는 수차례 비공개 회동을 했다.
당장 김 전 의원이 영입되지 않더라도 연대론 자체만으로도 바른정당에는 단비가 될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