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봄이 기자] 자유한국당은 21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아들인 준용씨의 특혜채용 의혹을 제기하고, 공무원 정치참여 보장 발언을 지적하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문 전 대표는 입만 열면 반칙과 특권 없는 세상을 만든다고 외쳤는데 정작 아들은 공공기관에 반칙과 특혜를 통해 입사했다는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 |
정우택(왼쪽 두번째)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실에서 진행된 원내대책회의에서 정태옥(오른쪽) 의원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왼족부터 이현재 정책위의장, 정우택 원내대표, 박맹우 사무총장, 정태옥 의원.<사진=뉴시스> |
그는 이어 "본인은 노무현 일가를 둘러싼 천문학적 액수의 뇌물수수 의혹을 막지 못한 장본인이고, 아들까지 반칙과 특혜 의혹을 받고 있다"면서 "겉으론 흙수저를 대변한다면서 속으론 '금수저' 행세를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태옥 원내수석부대표도 이 자리에서 "정유라는 비판 받고, 왜 문 전 대표 아들 문제는 그냥 넘어가야 하냐.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청문회에 응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고용정보원은 2007년 연봉 3200만 원으로, 당시 대기업 평균 2900만 원보다 높은 꿀 직장"이라고 꼬집었다.
이현재 정책위의장은 공무원 정치참여 발언과 관련, "헌법 제7조에 공무원은 신분과 정치적 중립성이 보장된다고 명시돼 있다"면서 "헌법재판소도 2004년과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공무원의 정치 중립은 합헌이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18일 "공무원의 정당가입과 정치후원 등 공무원의 정치기본권 보장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뉴스핌 Newspim] 장봄이 기자 (bom22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