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세훈 기자] 5명의 대선후보들은 25일 JTBC·중앙일보·한국정치학회 공동주최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북한 핵실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배치, 전술핵 도입 등의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 |
홍준표 자유한국당, 안철수 국민의당, 심상정 정의당,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가 25일 오후 경기도 일산 빛마루 방송지원센터에서 열린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참담하게 안보에 실패했다. 안보 무능 정권이었다"며 "그 점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안보를 말할 자격이 없다. 가짜안보 세력"이라고 비판했다.
문 후보는 사드 배치와 관련 "다음 정부의 북핵 폐기 카드, 중국의 북핵폐기 공조 카드가 어디 있겠냐"며 "그러한 권한을 가져야 북핵 문제도 중국과 해결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전술핵 문제에 대해선 "미국이 전술핵을 안 된다고 강력하게 반대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구 주장해 들여오겠다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는 "지금의 핵 위기는 김대중·노무현 정부때 70억달러 이상을 북에 퍼줘서 생긴 것"이라며 "북한이 그동안 돈을 축적해서 만든 것을 왜 그런 탓을 하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북핵을 외교로 억제 못 한 게 20년”이라며 “북한 핵기술만 발전했다. 이제 핵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전술핵 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사실은 지난 세월 동안 대북관계 악화에는 여야 모두 다 책임 있다. 특히, 여기 있는 분들이 정말 중요한 자리에 있을 때 계속 지속해서 악화해왔다"며 "우선 거기에 대해 책임지고 사과부터 하는 것이 도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후보는 사드 배치에 관해 "당론이 (사드배치 찬성으로) 변경됐다"며 "국민의당은 저를 중심으로 일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을 지낸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는 강경론을 펼쳤다. 유 후보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해 분명히 짚어야 한다"며 "김대중, 노무현 정권 때 받은 돈으로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 지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이렇게 심각할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2개다"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등으로 막는 것, 미국이 한참 지나 핵 보복 공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 전술핵을 한반도에 갖고 있으면 북한이 우리한테 핵 공격하면 반드시 즉각 핵 공격당한다는 두려움 갖게 된다"며 전술핵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보수는 안보를 늘 정치와 정권 안정에 이용했다"며 "그동안 보수가 주창한 안보 제일주의는 가짜 안보"라며 보수 진영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 “우리 외교의 가장 큰 문제는 한반도 안보를 논의하는 테이블에 정작 우리가 앉을 의자가 없다는 점”이라며 “미국과도 대등한 협상을 할 수 있는 한미동맹 관계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