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세훈 기자] 자유한국당은 19대 대선에서 2위를 기록하면서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이후 내리막길을 걷던 당을 수습하는데 성공했다. 다만, 전통적인 텃밭인 대구·경북(TK)을 제외하고 유의미한 득표를 얻는데 실패하면서 'TK 자민련'으로 추락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제기된다. 잠복해있던 당권 경쟁도 표출될 가능성이 높아 계파 갈등이 표출될 수도 있다.
![]() |
제19대 대통령 선거일인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자유한국당 당사 개표상황실에서 선거 소회를 밝힌 홍준표 대선 후보가 씁쓸한 미소를 지으며 돌아서고 있다. 홍 후보는 출구조사 결과가 맞다면 당을 복원한 것으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사진=뉴시스> |
한국당은 대선에서 패배했지만 보수 적통 경쟁에서 승리하면서 대체적으로 결과에 만족하는 분위기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는 9일 대선 패배를 선언하며 "한국당을 복원하는데 만족하겠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공중분해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확장성에선 한계를 드러냈다. 대구·경북(TK) 지역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40%를 넘는데 실패했다. 수권 정당보다는 'TK 자민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당은 앞으로 전국적 지지를 회복하는 것이 추후 과제로 남았다.
계파에 기반한 당권 경쟁도 예상된다. 한국당은 당 대표가 부재해 대선 직후 차기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 홍 후보는 기대 이상의 성적표를 내면서 당내 지분을 확보했다. 홍 후보는 “이번이 끝”이라며 당권에는 관심이 없다는 뜻을 밝혀왔지만 당내에서는 홍 후보의 당대표론이 계속 거론되고 있다.
당내 독자적 기반이 없는 홍 후보가 친박(친박근혜)계의 조직적 힘을 넘어서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바른정당 탈당파의 복당 결정을 시급히 내린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친박계는 조직적으로 복당 결정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면서 향후 당권 경쟁을 향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