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보람 기자]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 씨의 취업특혜 의혹에 대한 제보조작 사건의 진실은 무엇일까.
제보를 조작한 당원 이유미 씨를 포함해 관계자들의 진술이나 발언이 엇갈리는 가운데, 현재까지 공개된 진술과 상황을 토대로 사건을 재구성했다.
![]() |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 씨의 취업 특혜 의혹 조작사건에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는 국민의당 이준서(왼쪽) 전 최고위원과 당원 이유미 씨. /김학선 기자 yooksa@ |
① 이준서 "이유미, 4월 말 '문준용 씨 파슨스스쿨 동문 안다'고 제보"
사건의 발단은 지난 4월 2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준서 전 최고위원에 따르면 이날 새벽 이 전 최고위원은 당원 이유미 씨를 만난다.
이 자리에서 이 씨는 "문준용 씨와 파슨스스쿨을 같이 다닌 사람들을 안다"고 했고, 이 전 최고위원은 "그 사람들의 의견을 받아줄 수 있냐"고 문의했다.
5월 1일, 이 씨는 이 전 최고위원에게 파슨스스쿨 출신이라는 지인과 나눈 카카오톡 대화를 캡처해 보낸다.
이 전 최고위원은 당시 국민의당 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던 박지원 전 대표에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바이버(Viber)를 통해 관련 내용을 보냈다.
이 씨는 이틀 뒤, 이 전 최고위원에게 음성녹취 파일도 전달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같은 내용을 당시 공명선거추진단장인 이용주 의원을 비롯해 당에 알렸다.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은 대선을 나흘 앞두고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인원 당시 공명선거추진단 부단장은 "문준용 씨가 문 후보의 지시로 고용정보원에 입사 원서를 냈다"며 음성 변조된 녹취파일을 공개했다.
기자회견 뒤 이 씨와 이 전 최고위원은 "막판까지 가보자", "손털고 다른 일 열심히 해보겠다", "잘 되면 챙겨달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
![]() |
지난 대선 당시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장을 맡았던 이용주 의원이 당원 이유미 씨와 이준서 전 최고위원 간 카카오톡 대화를 공개했다. [뉴시스] |
② 민주당, 국민의당 고발…태도 바뀐 이유미
그러던 이 씨의 태도가 변했다. 대선 하루 전날인 5월 8일, 이 씨는 이 전 최고위원에게 "힘드시죠. 저도 많이 힘듭니다"라고 시작하는 장문의 카카오톡 메시지를 보낸다.
이 씨는 해당 메시지에서 "사실대로 모든 걸 말하면 국민의당은 망하는 것이라고 하셔서 아무 말도 아무 것도 못하겠어요"라며 "지금이라도 밝히고 사과드리는 것이 낫지 않을까 백번도 넘게 생각하는데 안된다 하시니 미치겠네요"라고 했다.
![]() |
지난달 28일 이용주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 씨 취업특혜 의혹 제기와 관련, 조작된 제보 내용이 담긴 카카오톡 메시지를 공개하고 있다. [뉴시스] |
민주당이 허위사실 유포로 당시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이던 김성호 전 의원과 김인원 부단장 등을 고발한 지 이틀 뒤였다.
한 달여가 지난 6월 24일 새벽 6시 30분, 이 씨는 조성은 전 비대위원과 전화통화에서 처음 조작사실을 털어놨다.
이 씨는 또 같은 날 이용주 의원과 그의 지역구인 여수에서 만나 그에게도 이같은 사실을 전했다.
이날은 이 씨의 요청으로 이 전 최고위원이 안철수 전 대표와 5분간 독대한 날이기도 하다.
다음 날인 25일, 사건 핵심 관계자 5명이 한 자리에 모여 이번 사건에 대해 논의했다. 이유미 씨, 이준서 전 최고위원, 이용주 의원, 김성호 전 의원, 김인원 변호사 등 이었다.
또 이 씨는 이날 안 전 대표에게 "고소취하 부탁드린다. 구속당한다니 너무 두렵다. 죽고싶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이튿날,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 정론관에서 "지난 대선 때 제기했던 제보된 카카오톡 화면과 녹음 파일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며 대국민사과를 했다. 이 씨는 이날 오후 검찰에 긴급체포됐다.
③ '윗선 개입' 여부 두고 '설왕설래'…진실은 검찰 몫
국민의당은 자체 진상조사단을 꾸리고 이번 사건이 당원 이 씨의 단독 범행이라고 결론내렸다. 이 전 최고위원을 포함한 윗선의 개입이 없었던 것은 물론, 안철수·박지원 전 대표가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씨는 검찰 조사에서 단독 범행이 아니라 윗선의 개입이 있었다고 진술했고, 조성은 전 비대위원과의 통화에서 역시 이 씨의 증거조작 지시를 주장했다.
또 검찰에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된 김성호 전 의원이 "조작은 없었다"고 진술했다. 제보조작과는 별개로 의혹 자체의 진위도 다시 한번 가려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조심스레 흘러나오고 있다.
이제 공은 검찰로 넘어갔다. 검찰은 현재 관련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