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보람 기자]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 씨 취업특혜 의혹 조작 사건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국민의당이 운명의 날을 맞았다. 오늘 11일은 의혹 기자회견부터 68일째다.
![]() |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 씨의 취업 특혜 의혹 조작사건에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는 국민의당 이준서 전 최고위원. |
11일 서울남부지법은 박성인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이준서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심문)를 연다.
국민의당은 대선 직전인 지난 5월 5일, 당시 공명선거추진단장을 맡았던 김성호 전 의원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 전 의원은 "준용 씨에 대한 취업특혜가 드러났다"며 카카오톡 대화 캡처 사진과 음성변조된 녹음파일을 공개했다.
이 자료는 당원 이유미 씨가 제공했다. 이 씨는 4월 26일,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만나 "준용 씨의 파슨스스쿨 시절 동료를 안다"고 말했다.
이 씨는 며칠 뒤 이 전 최고위원에게 준용 씨의 취업 특혜를 뒷받침할 만한 내용이 담긴 카카오톡 대화 캡처 11장을 이 전 최고위원에게 전달한다. 이틀 후에는 녹취파일도 보낸다.
이 씨가 자신의 휴대전화 여러 대를 돌려가며 조작한 대화와 자신의 남동생과 통화한 녹취 파일이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들 자료를 받아 당시 상임선대위원장이던 박지원 전 대표와 공명선거추진단장 이용주 의원에게 전달했다.
국민의당의 기자회견은 이들 자료를 토대로 이뤄졌다. 이용주 의원에게 자료가 전달된 지 하루 만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국민의당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발했다.
대선 전날인 5월 8일, 이 씨는 이 전 최고위원에게 "사실대로 말하고 싶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사실대로'가 무엇이냐"며 바이버로 답장을 보냈다.
이후 대선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고 사건은 묻히는 듯 했다.
![]() |
그러나 지난달 26일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특혜의혹 제보가 조작됐다"며 사과 기자회견을 했다. 검찰 출석을 통보받은 이 씨가 이 의원과 조성은 전 비대위원 등에게 제보조작 사실을 털어놓은 것을 토대로 기자회견을 결정한 것이다.
이 사이 이 전 최고위원은 당시 대선 후보였던 안철수 전 대표를 이 씨의 요청으로 5분간 독대했다.
![]() |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오른쪽)와 박지원 전 중앙상임선대위원장. [뉴시스] |
또 이 씨는 안 전 대표에게 "고소취하 부탁드린다. 구속 당한다니 너무 두렵다. 죽고싶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 '구명'을 요청했다. 안 전 대표는 답하지 않았다.
국민의당이 기자회견을 연 날 해당 사건을 수사하던 검찰은 당원 이 씨를 긴급체포했다. 이 씨는 제보를 조작한 혐의가 인정돼 구속됐다.
검찰은 또 네 차례 이 전 최고위원을 소환 조사한 뒤 결국 지난 9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전 최고위원의 경우 충분히 조작을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는데도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아 '미필적 고의'가 인정됐다. 이는 영장청구의 핵심 근거가 됐다.
하지만 이 전 최고위원은 여전히 자신의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안·박 전 대표 두 사람을 포함한 국민의당 지도부 역시 관련 사실을 '전혀 몰랐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상황이다. 자체진상조사단 조사 결과도 이와 동일했다.
하지만 검찰이 자신들의 주장과 달리 이 전 최고위원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국민의당은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이날 구속영장 발부가 결정되면 그동안 '윗선의 개입은 없었다'던 국민의당의 처지가 더욱 난감해 질 전망이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