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세훈 기자] 현재 미국에 귀속된 전쟁 발발시 국군 작전권인 전시작전통제권의 한국군 전환이 조속히 이뤄진다. 책임국방 실시를 위해 '한국형 3축체계'를 조기 구축하고 전략사령부 창설도 적극 검토된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월 26일 경기 포천시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2017 통합화력 격멸훈련 참관 전 군복을 입고 있다. |
전작권 전환은 한국 사회의 해묵은 주제이자 뜨거운 감자다. 노무현 정부 시절 본격 추진돼 전환 시기가 2012년으로 합의됐으나, 이명박 정부 때 2015년 12월로 늦춰졌고, 박근혜 정부 시절 사실상 무기 연기됐다.
그러다 문재인 정부 들어 다시금 전작권 전환이 논의돼 한미 간 협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당초 임기내 전작권 전환을 목표로 한다고 문 대통령에게 업무보고를 했다. 하지만 청와대 측은 대통령의 지시사항으로 전작권 전환 시기가 '임기내'에서 '조속히'로 바뀌었다고 전했다.
청와대 측은 "임기내 전환을 전작권의 조기전환으로 수정한 이유는 한미정상회담의 합의사항이기 때문"이라며 "한미동맹의 내용을 보면 양 정상은 조건을 기초로 한국군으로의 전작권 전환이 조속히 가능하도록 협력한다는 내용이 있다"고 했다.
이어 "전작권의 한국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양 국간 필요한 조건이 있다"며 "조건이 이뤄지면 임기 내든 임기 후든 전작권 전환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전작권 전환을 위해 한국군의 연합방위 주도 능력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그 방도로 북핵·미사일 위협을 대비한 독자적 한국형 3축체계를 조기구축한다는 방침이다. 3축체계는 북한 전역에 대한 감시·타격능력(Kill Chain), 핵심시설 방어능력(KAMD), 대량응징보복 수행능력(KMPR) 구축을 일컫는다.
또, 합참의 '핵·WMD 대응센터'를 '핵·WMD 대응작전본부'로 확대 개편하고 임기 내 '전략사령부' 창설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안보실 중심의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를 강화하기로 했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