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송의준 기자] 청와대는 1일 “북한과의 대화는 북-미, 남-북 양자대화나 다자 대화를 포함해 여러 형식이 병행돼 추진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고 설명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단에 보낸 서면브리핑을 통해 “우리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 |
30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자국을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고 있다. 두 사람은 북핵을 포함한 국제적, 지역적 중대현안 및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11월 방중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뉴시스> |
박 대변인은 이어 “한미 양국 정부는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이 필요하다는 원칙을 견지하면서, 대북한 접촉 채널 유지 노력에 관해 긴밀히 협의해오고 있다”며 “그러나 미 국무부 대변인이 어젯밤 밝혔듯이 북한은 진지한 대화에 관한 아무런 관심을 표명해 오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또 “미 정부는 오토 웜비어 사망 이후, 억류 미국인 석방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과 조용한 접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지난 30일 중국에 도착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담한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북한과 소통 라인을 갖고 있다. 현재는 어두운 상황에 있으나 ‘블랙아웃’ 상태가 아니다”라면서 “소통이 직접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우리는 북한과 2~3개의 채널을 열어 두고 있다”고 밝혔다.
또 북한과 대화 채널이 중국을 통해 운영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우리는 북한과 대화할 수 있고, 대화하고 있다”고만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 직접 대화 채널을 갖고 있고, 북한과 직접 대화하고 있다고 밝힌 것은 처음이다.
헤더 노어트(Heather Nauert)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북한 현 정권 붕괴 촉진, 체제 변화 추구, 한반도 통일 가속화, 비무장 지대 이북 군사력 동원에 관심이 없다는 미국의 확언에도 불구하고 북한 관리들은 그들이 비핵화 대화에 관심이 있다거나 준비 돼 있다는 어떠한 신호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송의준 기자 (mymind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