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성웅 기자]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게 돈을 버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면 사람들의 행동이 바뀔 것이다"
어떤 시민단체 활동가의 말이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기업가의 말이다. 주인공은 국내 재계 순위 3위인 SK그룹의 최태원 회장이다.
최태원 회장은 8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제1회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lobal Engagement & Empowerment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GEEF)'에 참석해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과 대담을 가졌다.
![]() |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오른쪽)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이 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GEEF는 반기문 전 사무총장이 지난 2015년 UN 재직 당시 만든 지속가능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SDG에는 빈곤, 질병, 여성, 청년 등 인류의 미래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17가지 과제가 포함돼 있다.
최태원 회장은 이날 '기업은 SDG 달성에 어떻게 동참할 수 있을까'란 주제로 30여분간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최 회장에 따르면 SK는 최근 수년간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 실험 중이다.
그 일환으로 올해부터 SK는 전 계열사의 회계 시스템을 바꾼다. 더블 바텀 라인(Double Bottom Line)이다. 통상적으로 기업이 회계보고서를 낼 때 최하단에 최종적으로 발생한 경제적 이익이 적힌다. 최 회장은 여기에 하나를 더해 사회적 가치를 얼마나 창출했는지도 수치로 기재하겠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지난해 SK하이닉스에서 먼저 시도됐다. 사회적 가치에는 직원 복지 활동부터, 임금, 고용, 배당 등이 모두 포함됐다. 지난해 SK하이닉스가 창출한 사회적 가치는 7조원 규모였다.
최 회장은 "전에는 임금이나 세금은 무조건 적게 내는 게 좋은 거라고 생각했다면 사회적 가치를 회계에 포함한 후엔 세금이나 임금에 사회적 가치가 있다고 보니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삼지 않게됐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사회적 가치를 수치상으로 표현하는 데 있어선 아직까지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임금이 세금이나 환경에 대한 투자나 일자리 창출에 비해 얼마만큼의 가중치를 갖는지 몰라 정확한 수치화가 어렵다"라고 말했다.
![]()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에서 공동번영을 위한 강한 기조 구축의 주제의 강연에서 사회적 기업의 가방을 선보이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SK는 또 인프라 공유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후원도 시행하고 있다. SK는 전국에 위치한 SK 주요소를 공유의 대상으로 제공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공모받기도 했다.
최 회장은 최종적으로 '사회적 가치의 시장화'란 개념을 제시했다. 사회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해 이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하잔 얘기다. 이는 사회적 기업을 후원하면서 어떤 기업에 더 많은 후원을 해줄 것인가를 고민하다 탄생했다.
최 회장은 "SDG엔 17가지 과제가 있지만 무엇이 더 중요한 문제인지, 또 시간에 따라 어떻게 그 중요도가 변하는 지를 측정할 가중치 시스템이 없다"라며 "나는 시장이 이 가치를 측정해준다고 본다"라고 주장하며 탄소배출권시장을 예로 들엇다.
SK는 실제로 4년여전부터 사회성과인센티브라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사회적 기업이 얼마만큼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는지 계산하는 그룹이다. 계산된 사회 가치는 돈으로 돌려준다.
![]()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에서 공동번영을 위한 강한 기조 구축의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최 회장은 "사회적 성과를 만들었을 때 누군가에게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 준다면 행동이 변할 것"이라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교환되는 매커니즘을 만들어지면 긍정적인 선순환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최 회장의 발표를 들은 반 전 총장은 "세상의 어떤 부자나 강자도 혼자선 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에 민간부문과의 파트너십을 항상 강조한다"라며 "SK에서 말하는 지속가능성장이 SDG 기본 철학과 일맥해 인상적이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이성웅 기자 (lee.seongwo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