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동 기자 = 올해 2분기 변액보험 초회보험료가 1분기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새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대비, 저축성변액보험인 변액연금보험이나 변액유니버셜보험의 판매량이 급감한 탓이다. 여기에 주가지수도 하락해 신규 판매량이 줄었다.
22일 보험업계 및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분기 변액보험 초회보험료는 4361억원이었다. 이는 1분기 7412억원 대비 41.2%(3051억원) 감소한 수치다. 초회보험료는 보험에 가입, 맨 처음 납입하는 보험료로 해당 상품의 성장성을 확인하는 지표가 된다.
상품 유형별로 세분화하면 변액연금보험은 1194억원으로 1분기 대비 47.8%(1092억원), 변액유니버셜보험은 2030억원으로 45.4%(1554억원) 줄었다. 변액종신보험만 36억원으로 1분기 대비 15억원(69.8%) 증가했지만, 비중이 적어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
이처럼 변액보험 초회보험료가 급감한 것은 IFRS17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변액보험 중 수익성이 낮은 저축성변액보험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급감했다. IFRS17이 적용되면 변액보험이라고 해도 수익성이 낮다. 현재는 보험료가 매출로 잡혀 수익으로 계상되지만, IFRS17은 부채부터 책정하고 매년 이익을 계상하기 때문이다. 이에 변액보험도 저축성보험의 판매가 줄어들었다.
![]() |
수입보험료도 4조7574억원으로 1분기 대비 5.4%(2726억원) 줄었다. 특히 저축성기능에 집중된 변액보험 판매가 급감했다. 수입보험료는 초회보험료를 포함, 전체 들어온 보험료를 의미한다. 제조업의 매출액과 같은 개념이다.
상품별로 수입보험료를 보면 변액연금보험은 1조7018억원으로 1분기 대비 7.4%(1357억원), 변액유니버셜보험도 2조5606억원으로 3.9%(1040억원) 줄었다. 변액종신보험만 1602억원으로 1분기 대비 5.5%(84억원)증가했다.
![]() |
물론 수입보험료가 줄어든 탓에 보험료적립금 104조1470억원으로 1분기 대비 2조2399억원(1.2%)도 줄었다.
![]() |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변액보험은 주가지수 등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며 “주가가 상승하면 3~6개월 후행해 판매량이 증가하지만 반대의 경우 판매가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주가 상승으로 1분기에는 변액보험 판매가 많았지만 올해 초부터 주가지수가 하락한 탓에 변액보험 판매 신계약도 감소했고 적립금까지 줄어들었다”고 덧붙였다.
0I0870948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