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평양 공동취재단·채송무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첫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약 1시간 30여분 간 진행했다. 핵심 사안인 비핵화 등에 대한 남북 정상의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 따르면 남북 정상은 18일 오후 3시 45분부터 5시 45분까지 2시간 동안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 |
평양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노동당 본부청사에 도착,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로이너 뉴스핌] |
남북 정상회담의 배석자는 우리 측 서훈 국정원장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북측은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었다.
존 볼튼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상시적인 협의를 진행해왔던 정의용 실장이 회담 테이블에 앉아 비핵화에 대한 긴밀한 대화가 이뤄졌음을 짐작하게 했다. 정 실장은 지난 4월과 5월 남북정상회담에는 배석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수석 협상가의 역할을 부탁하는 등 북미의 비핵화 의견 조율이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만큼 북한과 미국의 입장을 조율하는 시도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 |
평양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노동당 본부청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사진=로이너 뉴스핌] |
서훈 국정원장은 오랜 대북 협상 경험을 갖고 있는 인물로 지난 1·2차 남북정상회담에 모두 배석하는 등 북한과의 비핵화 외교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갖고 있다. 1차 남북정상회담 이전과 이달 5일 문 대통령의 대북 특사단의 일원으로 북한을 방문하는 등 북한 비핵화 외교의 전모를 파악하고 있다.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은 그동안 미국과의 비핵화 외교를 책임져왔던 인물이다. 김정은 위원장의 특사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비핵화 실무협상을 진행하기도 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 위원장의 친동생으로 백두혈통이지만, 지난 1차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비핵화에 대한 중대한 논의를 하는 3차 남북정상회담에도 배석하면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해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음을 짐작하게 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