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에노스아이레스=뉴스핌] 김근철 특파원·채송무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할 때까지 국제사회의 기존 제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코스타 살게로 센터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이처럼 의견을 모았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 |
아르헨티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VOA 캡쳐] |
한미 정상은 이같은 공동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굳건한 동맹관계를 바탕으로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윤 수석은 “양 정상이 30여분간 배석자 없이 단독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행상황을 평가하고 한미간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면서 “양 정상은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기존의 제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초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차기 회담이 한반도의 비핵화 과정을 위한 또 다른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한미가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윤 수석은 또 “양 정상은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공동의 노력에 추가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밖에 트럼프 대통령의 탁월한 지도력과 과감한 결단력이 지금까지의 진전과 성과를 이루어 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는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 수석. [사진=청와대 캡쳐] |
트럼프 대통령도 문 대통령이 특히 군사적 긴장 완화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우호적 환경 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해 온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이번이 여섯 번째로, 지난 9월 뉴욕 유엔총회 계기로 가졋던 정상회담 이후 67일만이다. 이날 회담은 양측 참모들이 배석하지 않고 통역만 참석한 채 비공개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