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제 64회 현충일을 맞아 "애국 앞에 보수와 진보가 없다"고 최근 진영 대립이 높아진 상황에 대해 메시지를 내놓았다.
문 대통령은 6일 서울 현충일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서 "우리에게는 사람이나 생각을 보수와 진보로 나누며 대립하던 이념의 시대가 있었다"며 "하지만 오늘의 대한민국에는 보수와 진보의 역사가 모두 함께 어울려 있다"고 강조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했다. [사진=청와대] |
문 대통령은 "지금 우리가 누리는 독립과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에는 보수와 진보의 노력이 함께 녹아 있다"며 "이제 사회를 보수와 진보,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우리는 누구나 보수적이기도 하고 진보적이기도 하다"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스스로를 보수라고 생각하든 진보라고 생각하든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상식의 선 안에서 애국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통합된 사회로 발전해갈 수 있을 것"이라며 "기득권에 매달린다면 보수든 진보든 진짜가 아니다"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내년은 한국전쟁 70주년이 되는 해"라며 "유엔의 깃발 아래 22개국 195만 명이 참전했고, 그 가운데 4만여 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고, 그 중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가장 큰 희생을 감내한 나라는 미국이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의 참전용사 3만3천여 명이 전사했고, 9만2천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며 "정부는 미군 전몰장병 한분 한분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 한미 동맹의 숭고함을 양국 국민의 가슴에 새길 것"이라고 한미동맹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는 지난 5월 24일, 또 한 명의 장병을 떠나보냈다. 청해부대 최영함에 탑승하여 이역만리 소말리아 아덴만에서 파병 임무를 마치고 복귀하는 마지막 순간이었다"며 "국가는 끝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고(故) 최종근 하사를 국립대전현충원에 모셨다"고 말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했다. [사진=청와대] |
문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와 가족들의 예우와 복지를 실질화하고 보훈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올해는 순직 군인들을 위한 '군인재해보상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군 복무로 인한 질병이나 부상을 끝까지 의료지원 받을 수 있도록 '병역법' 개정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국가유공자들을 편하게 모시기 위해 올 10월 괴산호국원을 개원하고, 8월 제주국립묘지를 착공해 2021년 개원할 예정"이라며 "그동안 국가 관리가 미흡했던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효창공원 독립유공자 묘역 등 독립유공자 합동묘역을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무연고 국가유공자 묘소를 국가가 책임지고 돌보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미래로 나아가면서도 과거를 잊지 않게 부단히 각성하고 기억해야 한다"며 "우리에게 선열들의 정신이 살아있는 한 대한민국은 미래를 향한 전진을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