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핌] 남경문 기자 = 부산학교비정규직노조 부산지부 소속 노동자 800여명은 총파업 이틀째인 4일 오전 시청 광장에서 '비정규직 철폐와 공정임금제 실현 2019 총파업 승리대회'를 개최했다.
부산학교비정규직노조는 이날 부산시교육청에서 집회를 가진 뒤 부산시청까지 가두행진을 벌이면서 부산시청에 도착해 집회를 이어 갔다.
![]() |
김재하 민주노총 부산본부장이 4일 오전 11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비정규직 철폐와 공정임금제 실현 2019 총파업 승리대회에서 정부가 약속한 공공부문에서 비정규직을 정규직화가 조속한 시일 내에 이루어져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남경문 기자]2019.7.4. |
김재하 민주노총 부산본부장은 이날 집회에서 "오늘 아침 뉴스를 보고 저는 절망감을 느꼈다"며 "어제 비정규직 동지들이 투쟁하면 적어도 정부가 비정규직 문제가 심각하니 정부가 대책을 세우겠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의 필요한 예산을 세우겠다고 할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작 한다고 하는 발표가 파업 이틀 차 복귀율이 몇 %라고 하고 있다"고 힐난하며 "시도교육감 중 상대적으로 진보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서울시교육감은 투쟁하고 있는 학교의 비정규직 동지들에게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학교급식 중단된 실태조사하러 학교를 방문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현 정부가 약속한 이유로는 다른 것이 아니다. 이 땅에 비정규직 1000만여명"이라고 지적하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적어도 공공부문이라도 먼저 정규직해서 비정규직 문제의 물꼬를 틀고자 문재인 정권이 약속했다"고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일반 재벌이나 일반 기업체의 비정규직의 정규직보다 훨씬 쉽다. 그런데 안 하고 있다"고 꼬집으며 "그 이유는 먼저 정부와 부산시를 포함한 정권의 의지 부족이며 또 하나는 재벌과 1%가지 사람이 단 한푼도 손해보지를 않기 때문"이라고 몰아 붙쳤다.
또 "정부의 정책은 지금 비정규직의 정규직 같은 예산에 있는 자에게 예산을 퍼주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는 예산은 배정하지 않는 친재벌 정책"이라고 쓴소리를 던졌다.
김 본부장은 "동지 여러분 어제 광화문 앞에 집회는 이 땅의 역사를 새로 쓰는 투쟁이었다"고 규정하며 "학교에서 교사도 가르치지만 노동이 소중하다. 알고보니 우리부모, 우리형제 자매 그리고 우리 주변이 비정규직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가르치는 동지 여러분의 투쟁"이라고 격려했다.
![]() |
4일 오전 11시30분께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린 비정규직 철폐와 공정임금제 실현 2019 총파업 승리대회에 참가한 부산학교비정규직 노조 부산지부 소속 노동자들이 비정규 철폐와 공정임금 실현을 촉구하고 있다.[남경문 기자]2019.7.4. |
한편 부산학교비정규직노조의 총파업 이틀째인 4일 부산지역에서는 국·공립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 526곳 중 196곳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파업 참여 인원은 부산 학교비정규직원 1만1578명 가운데 678명으로 5.9%에 달한다.
이날 급식이 중단된 곳은 파업 첫날보다 1곳이 늘어난 73곳(3일 27곳)이다. 이 중 '도시락 지참' 3곳, 빵, 우유 등 제공 69곳, 매식(사먹음) 3곳 등으로 대체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