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골드만삭스가 ‘아시아의 호랑이’로 불리는 한국·대만·싱가포르·홍콩 4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하며, 세계경제에 대한 개방성이라는 이들 국가의 최대 강점이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세계 경제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최대 약점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한국·싱가포르·홍콩·대만 등 '아시아의 호랑이' 4개국에 대한 골드만삭스의 경제성장률 전망치 [자료=블룸버그통신/골드만삭스] |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앤드류 틸튼 등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15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아시아 호랑이 4개국은 내부적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나선 데다 세계화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급속한 경제개발로 큰 혜택을 입었지만, 과거 강점이 됐던 이러한 특징이 이제 세계 경제성장 둔화에 그대로 노출되는 약점이 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미국과 무역전쟁의 여파로 공급망이 중국을 탈출하면서 주변국들이 상대적인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이는 중국과 육로로 연결된 베트남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에 집중되고 있으며 ‘호랑이’ 4개국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이전 전망치인 2.2%에서 1.9%로 하향 조정하고, 한국은행이 7월 금리인하에 이어 오는 10월 금리를 또다시 25bp(1bp=0.01%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홍콩의 3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0.5%로 하향 조정됐으며 올해 전망치도 겨우 0.2%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홍콩은 특히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로 촉발된 정치적 혼란으로 내수가 크게 취약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싱가포르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1%에서 0.4%로 하향 조정됐다. 또한 싱가포르 중앙은행격인 싱가포르통화청이 주요 통화정책 도구인 환율밴드를 현행 1%에서 오는 10월 0.5%로 축소한 후 내년 4월에는 0%로 축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4%에서 2.3%로 하향 조정됐다. 대만은 미국이 중국산 수입을 줄이는 대신 대만산 수입을 늘여 무역전쟁의 여파를 다른 호랑이들에 비해 적게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