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당분간 동결을 시사하면서 한국은행의 추가 완화정책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진투자증권은 31일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중립적인 스탠스로 돌아서며 금리 동결을 시사했다고 진단했다.
![]()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해 경제 확장 유지, 강한 고용시장, 대칭적인 2% 목표 부근 인플레이션을 위해 적절하게 행동할 것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며 "대신 경제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의 적절한 경로를 평가하겠다는 문구로 대체하는 등 중립적인 스탠스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연준은 한국시간으로 이날 새벽 마무리된 10월 FOMC에서 연방기금금리는 1.5~1.75%로 25bp(1bp=0.01%) 인하했다. 이는 글로벌 상황이 경제 전망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낮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현재 통화정책이 적절하며 물가가 상당 폭 올라야 금리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신 연구원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을 보면, 경제상황이 미 연준의 전망과 일치하는 한 현재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며 "당장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등 양호한 소비가 성장을 견인했고 시장의 경기침체 우려도 완화시켰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준의 움직임은 향후 추가적인 한국은행 금리인하 기대를 약화시킬 수 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그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 폭이 50bp(1bp=0.01%)로 축소됐지만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점에서 한은의 금리인하 기대도 낮아졌다"며 "10월 금융퉁화위원회에서 이미 선제적인 금리인하에 나선 것을 감안할 때 성장의 추가 악화가 확인되기까지 추가적인 인하는 지연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한은은 최근 두 차례 금리인하 효과의 확인이 필요하며, 통화정책보다는 재정정책의 효과가 크다는 입장"이라며 "수급 부담과 더불어 이전과 같은 큰 폭의 금리 하락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