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한태희 기자 =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한국 신용등급 'AA'를 유지했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이날 저녁 한국 신용등급 전망을 현재 수준인 'AA(안정적)'을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S&P는 2016년 8월 한국 신용등급을 'AA'로 평가한 후 3년3개월째 유지 중이다.
S&P는 먼저 한국경제 성장세가 다른 고소득 국가보다 견조하다고 평가했다. 또 특정 산업이나 수출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를 이뤘다고 분석했다. 다만 세계 교역 여건 부진으로 수출 증가율은 올해 들어 부진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일본과의 무역갈등은 불확실성을 확대했고 투자심리를 제약한다고 봤다.
![]() |
주요국 국가 신용등급 비교 (2019년 10월말 기준)[세종=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19.11.06 ace@newspim.com |
한국의 대외 건전성은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외환시장의 깊이와 환율 유연성이 한국경제의 강력한 대외 버퍼로 작용하며 경상수지 흑자도 이어진다고 S&P는 분석했다.
건전한 재정 건전성도 국가 신용도에 긍정적이라고 평했다. 다만 비금융공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가능성은 재정 건전성 제약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북한 정권 시 부담해야 할 통일비용 등도 한국 신용도의 취약점이라고 평가했다.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경제안정과 기대인플레이션 관리에 성공했다고 평했다. 금융 부분 위험으로 꼽히는 가계부채와 관련해서는 DSR 도입 등으로 부채 증가 속도가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P는 현재 안정적 등급 전망은 한반도 지정학적 위험이 앞으로 2년 동안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전제로 했다고 부연했다. 이는 지정학적 위험이 향후 한국 신용등급을 결정한 주요 변수라는 점을 의미한다.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