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비밀리에 일본을 빠져나가 레바논으로 도피한 카를로스 곤 전 닛산자동차 회장과 관련해, 알베르트 세르한 레바논 법무장관이 "곤 전 회장은 합법적으로 입국했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그는 일본에서 곤 전 회장의 신병 송환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법률에 근거한 범위에서 협력하겠다"고 말했지만 송환에 응할지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레바논 정부가 도주에 관여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도 강하게 부정했다.
![]() |
지난 4월 보석 석방돼 도쿄구치소를 나서고 있는 카를로스 곤 닛산 전 회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NHK는 3일 세르한 법무상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곤 전 회장은 합법적인 서류를 갖고 레바논에 입국했다"며 "레바논 영토 내에서 어떠한 법률도 어기지 않았다"고 말해 곤 전 회장의 체류엔 법적 문제가 없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그는 레바논 정부가 곤 전 회장의 도주에 관여한 게 아니냐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정확성이 결여돼 있어 고려해선 안된다"고 강하게 부정했다. 다만 곤 전 회장이 어떻게 입국했는지 상세한 내용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정보를 갖고있지 않다"며 언급을 피했다.
그는 곤 전 회장에 대한 국제형사기구(ICPO·인터폴)의 적색수배를 받았다고 밝히며 "레바논 법률에 근거해 대응하겠다"며 "곤 전 회장에게 이야기를 듣는 등 필요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세르한 법무상은 일본과 레바논은 용의자 신병 인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고 있진 않지만, 일본 정부로부터 곤 전 회장의 신병 송환 요청이 올 경우 "레바논 정부는 레바논 법률에 근거한 범위에서 요청에 협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과의 양국 간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다만 방송은 "곤 전 회장의 송환에 응할지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고 했다.
현재 외신에서는 레바논 정부가 곤 전 회장의 도주에 관여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영국 언론 인디펜던트의 아랍어판은 지난 1일(현지시각) 레바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곤 전 회장의 도주 계획에) 레바논의 치안·정치 관계자들이 적어도 몇주 전부터 파악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한 레바논 지역TV 방송도 곤 전 회장이 30일 베이루트 공항에 도착했을 때 그의 '가까운 친구들'이 마중을 나왔고, 이후 곤 전 회장이 미셸 아운 대통령과 비공식 면담을 가졌다고 전했다. 아운 대통령은 곤 전 회장과의 면담에서 "레바논 시민으로서 보호"를 약속했다고 알려졌다.
다만 레바논 대통령궁은 전날 AFP통신 취재에 "곤 전 회장은 대통령궁에 오지 않았으며 대통령과 만나지도 않았다"고 보도 내용을 부정했다.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