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북한이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 카드를 거절한 것은 빈손으로 끝난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공동책임자'를 다시 보내려 하는 데 거부감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정철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8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정산홀에서 열린 '통일전략포럼' 세미나에서 "북한이 보기에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하노이 노딜의 공동책임자"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또한 "북한 입장에서는 굉장히 불쾌했을 수도 있다"며 "김여정 제1부부장 급(級)에 맞는 특사를 보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 |
지난 2018년 9월 5일 대북특사단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왼쪽)과 서훈 국정원장(가운데)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평양으로 향하는 특별기에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스핌 DB] |
이 교수는 '급'에 대해 "직책을 말한 게 아니다"라며 "공동책임자 중 북측은 다 한 번씩 징계를 받았는데 우리는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또 (정의용·서훈) 그분들이 문제 해결을 하겠다고 오는 게 맞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김여정 제1부부장은 하노이 결렬 이후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해임됐다가 지난 4월 노동당 정치국회의를 계기로 복귀했다.
또한 '대남 강경파' 김영철도 김 제1부부장과 같은 기간에 통일전선부장 직에서 물러났고 최근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본격적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는 모양새다.
한편 북한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한국 정부가 대북특사 가동을 시도했지만 김 제1부부장이 이를 거절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대북특사를 제의한 것이 "초강력 대적 보복공세에 당황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폄하했다.
또한 통신에 따르면 김 제1부부장은 "뻔한 술수가 엿보이는 이 불순한 제의를 철저히 불허한다"고 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