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국토교통부는 한국GM, BMW, 아우디폭스바겐, FCA, 닛산에서 판매한 총 76개 차종 21만738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한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GM 라세티 등 5개 차종 13만4493대는 자동변속기 제어장치 내부의 용접불량이 확인됐다. 유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변속이나 가속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트래버스 175대는 연료펌프 내부 부품의 제조 불량으로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리콜에 들어간다.
![]() |
BMW 520d 등 44개 차종 6만3332대는 엔진오일에 연료가 섞일 경우 타이밍체인의 윤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체인이 마모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타이밍체인이 끊어져 시동이 꺼질 수 있다.
BMW 530e iPerformance 등 6개 차종 1257대(판매이전 포함)는 고전압배터리 셀 생산과정에서 셀 내부에 이물질이 남아있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경우 배터리 단락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BMW X5 xDrive30d 등 9개 차종 89대(판매이전 포함)는 제작공정 중 발전기 연결배선의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단자와 배선 간 접촉 불량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우디 A6 45 TFSI qu. Premium 등 4개 차종 8103대는 캠축조절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생했다. 정차 후 출발 시 등 엔진 공회전 조건에서 흡기 캠 오작동으로 엔진 부조 및 시동꺼짐이 발생할 수 있다.
람보르기니 URUS 329대는 연료공급호스 커넥터의 내열성 부족으로 리콜에 들어간다. 엔진의 높은 열에 의해 연화되고, 이로 인해 연료가 새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지프 그랜드체로키(WK) 2580대는 연료펌프 스위치 내구성 부족으로 연료 공급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인피니티 M30d 등 5개 차종 380대는 동력 전달축(프로펠러 샤프트)의 내구성 부족으로 파손이나 동력전달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어 리콜에 들어간다.
해당 차량은 각 사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해당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려야 한다. 결함시정 전 자동차 소유자가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