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최근 3년 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교통공사 등 19개 철도운영기관의 안전투자실적 총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레일,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의 투자 실적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9개 철도운영기관 누리집과 철도안전정보포털에 이러한 내용의 '2020년도 철도안전투자공시'를 게시했다고 13일 밝혔다.
![]() |
지난해 철도안전투자공시 주요 실적 [자료=국토교통부] |
철도안전 투자공시제도는 철도운영기관의 투자 실적과 향후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철도운영기관 간 경쟁을 통해 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2019년 도입됐다. 철도차량, 시설의 노후화로 안전투자의 필요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운영기관의 투자실적 총계는 2018년 1조4000억원에서 2019년 1조5000억원, 지난해 2조5691억원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증가율 역시 2018년 대비 지난해 82.7%를 기록, 운영기관이 철도 안전 강화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관별로 공시 대상 중 13개 기관(68%)의 전년 대비 투자 실적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철도공사(1조8000억원), 서울교통공사(5400억원), 부산교통공사(922억원)가 상위권을 기록했다. 반면 ▲SR ▲대구도시철도공사 ▲의정부 경량전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투자 실적이 전년 대비 줄었다.
운영기관의 투자 계획 대비 집행 실적은 2018년 81%에서 지난해 97%로 18%포인트(p) 증가했다. 계획 대비 실적 비율은 우이신설경전철(110%), 부산교통공사(108%), 한국철도공사(107%) 순으로 높았다. 한국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는 투자 실적, 투자 계획 대비 집행 실적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이신설경전철은 2019년 800만원 투자에서 지난해 17억원으로 대폭 늘려 올해 현재까지 '철도사고 제로'를 달성하는 등 안전 수준을 높였다. 지속적인 투자로 같은 기간 동안 철도사고 건수, 사망자 규모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운영기관의 안전수준도 B등급(우수)을 기록하는 등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향후 3년 간(2021~2023)의 안전투자는 총 8조8036억원으로, 최근 3년(2018~2020) 실적(5조4849억원)보다 61% 증가할 예정이다. 항목별로 시설 개량(4조1628억원), 차량 교체(2조7423억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강희업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안전투자공시제 도입으로 운영기관 간 경쟁을 통한 철도 안전이 향상됐다"며 "향후에도 철도 안전 투자 확대를 위해 운영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