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취임 한 달째를 맞은 가운데 남북관계가 '강대강' 대치 구도를 보이고 있다. 윤 대통령이 도발에 대한 강경 대응을 시사한 뒤 북한은 수차례 미사일 도발을 통해 긴장감을 고조시켰으며 우리 군 역시 이에 적극 대응에 나섰다.
한미 양국은 북한의 연이은 도발을 규탄하고 있지만 북한은 아랑곳 않은 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오히려 제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신호가 지속 관측되며 남북 경색 국면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4월 1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 아래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발사했다"면서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윤 대통령은 출범 초부터 강력한 한미동맹 복원과 북한에 대한 확장억제 기조를 내세웠다. 이는 지난달 말 개최된 정상회담에서도 드러났다. 새 정부 출범 후 가장 빠른 기간 내 개최된 이번 회담에서 양국은 북한의 도발에 보다 강력한 대응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공식석상에서도 대북정책과 관련해 일관된 메시지를 전했다.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고도화되고 있다"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억제하면서 보다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안보 능력을 갖춰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북한은 올해 들어서만 총 18차례, 윤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총 세 차례 미사일을 쏘아올리며 무력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윤 대통령이 취임한 지 불과 사흘 만인 지난달 12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한 데 이어 한일 순방을 마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귀국 직후인 25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추정 발사체 포함 3발의 미사일을 쏘아올렸다.
지난 5일에는 평양, 평안남도, 평안북도 등 4군데 장소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무려 8발을 발사했다. 한미 양국이 약 4년 7개월 만에 핵 추진 항공모함을 동원한 연합훈련을 진행한 데 대한 반발성 무력 시위다.
이 뿐만 아니다.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신호 역시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북한이 사실상 핵실험 준비를 마치고 적절한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렇듯 남북이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지난 8일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5차 전원회의 확대회의를 시작해 주목된다. 북한의 주요 정책이 결정될 이번 회의는 향후 남북관계의 향방을 결정할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전날 보도에서 구체적인 회의 의제와 내용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북한이 코로나19 방역에 집중하고 있고 식량난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주요 의제는 방역과 경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 위원장의 대외메시지 발신 여부가 특히 주목된다. 북한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관영매체를 통한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최근에는 수 차례 미사일 발사에 대한 보도도 하지 않으며 '전략적 침묵'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임박했다고 하는 7차 핵실험에 대한 언급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회의에서 7차 핵실험 결정을 한 뒤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실험시기는 전원회의 폐막 직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