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화 기자 = 새 정부가 현금성 복지 지원을 취약계층과 저소득층, 아동·노인·장애인 중심으로 두텁게 지원하는 가운데 노인 계층에 대해서는 기초연금 지급액을 현행 월 30만원에서 40만원까지 단계적인 인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70%인 만 65세 이상에게 평생 연금을 주는 복지 제도로 올해 기준 연금액은 30만7500원이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 증가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가장 빠른 데다 노인 빈곤률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심각한 노후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2022~2027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노인 기초연금을 국민연금 개편과 연계해 월 30만원에서 4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올린다. 노인일자리는 사회서비스형·시장형 중심으로 확대, 공공 주도에서 노인 채용 민간기업 지원 방식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간다.
![]() |
맞춤형 기초보장도 강화한다. 급성기병원 중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와 함께 요양병원 특성에 맞는 간병서비스 모델 마련, 모니터링·평가 등을 통해 요양-간병 지원을 강화해 나간다. 또 최중증 발달장애인 24시간 돌봄 모델을 평가를 거쳐 확대하고 발달장애인 거점 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를 확충할 계획이다.
아울러 장애인 지원 관련 개인예산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개인예산제 도입을 통해 주어진 액수 내 직접 원하는 복지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장애인 콜택시 같은 특별교통수단 지원(2023년까지 약 5000대)도 확대된다.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운영비를 국고보조금 지원대상에 포함, 연말까지 연구용역 진행 상황 등을 고려 적정 지원방안을 강구한다.
이와 함께 한부모 가족의 양육비 지원기준을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52% 이하에서 63% 이하 가구로 단계적으로 상향하고 지원금액도 월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국민 맞춤형 기초보장도 강화된다. 저소득층 생계안정을 위해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기준중위소득 35%를 목표로 실태조사, 중앙생활보장위원회 논의를 거쳐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주거용 재산·재산기준을 완화한다.
이 외에도 갑작스런 위기 시 긴급소득지원을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와 유사한 수준으로 대폭 강화하고 상병으로 인한 소득상실에 대응해 상병수당 급여도입을 추진한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