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김명은 기자 = 올해 국내 주요 대규모유통업체의 거래관행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인식됐으나 편의점만 유독 나빠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GS25,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 등 국내 주요 편의점 납품업체들이 대형마트·SSM(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TV홈쇼핑, 온라인쇼핑몰 등 다른 유통채널에 비해 부당한 반품과 판촉비용 전가, 판매장려금 수취 등 불공정행위를 경험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도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0개 주요 대규모유통업체와 거래하는 7000개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2년 유통분야 거래관행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 |
조사 대상 유통채널은 대형마트·SSM, 편의점, 백화점, TV홈쇼핑, 온라인쇼핑몰, 아울렛·복합몰, T-커머스 등 7곳이다. 공정위는 이들과 거래하는 납품업체를 상대로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에 걸쳐 거래관행 개선과 표준거래계약서 사용, 2021년 불공정행위 경험 등을 설문조사했다.
그 결과 대규모유통업체의 거래관행이 전년에 비해 개선됐다고 응답한 납품업체의 비율은 92.9%로, 전년(92.1%) 대비 0.8%포인트 증가했다. 유통채널 대부분에서 거래관행 개선 응답률이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유독 편의점만 떨어졌다.
TV홈쇼핑(97.1%)과 온라인쇼핑몰(84.9%)의 경우 각각 2.9%포인트 늘어나 증가폭이 가장 높았다. 반면 편의점(92.9%)은 전년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표준거래계약서 사용률은 99.1%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TV홈쇼핑(100.0%), T-커머스(100.0%), 대형마트·SSM(99.8%), 편의점(99.3%)에서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울렛·복합쇼핑몰의 경우 97.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 |
![]() |
대규모유통업체와의 거래에서 불공정행위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납품업체 비율(경험률)을 유형별로 보면, 대금 지연지급(위수탁 거래)이 4.1%로 가장 높았고, 판촉비용 전가, 부당반품이 각각 2.3%, 2.1%로 그 뒤를 이었다.
업태별(유통채널별)로 보면 대금감액·대금 지연지급(위수탁 거래·7.7%, 직매입 거래 3.7%)·불이익제공(3.2%)은 온라인쇼핑몰이, 부당반품(3.6%)·판촉비용 전가(5.8%)·판매장려금 수취(2.2%)는 편의점이 가장 높았다.
서면 미교부·경영정보 부당 요구·영업시간 구속(2.5%)은 아울렛·복합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납품업체 종업원 부당 사용은 대형마트·SSM이 1.0%로 가장 높았고, 납품업체들이 다른 사업자와 거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배타적 거래요구는 SK스토아, K쇼핑, 신세계TV쇼핑, 쇼핑엔티, W쇼핑 등 T-커머스 분야에서 가장 많았다.
박선정 공정위 유통거래과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불공정행위 경험비율을 보인 행위유형이나 업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제도 개선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dream7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