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종 전문기자 = 대통령실이 지난해 6월 시작한 국민제안에 그동안 총 4만여 건, 하루 평균 200여 건의 제안이 쏟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대통령실 국민제안비서관실은 23일 발간된 '국민제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구체적인 운영 내용을 공개했다.
![]() |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사진=뉴스핌DB] |
이번 보고서는 지난 1월 발간한 첫 보고서에 이어 두 번째로 지난해 4분기 동안 접수된 국민제안에 대한 처리 결과를 담고 있다.
대통령실은 "국민제안은 지난해 4분기(10.1~12.31) 중 총 1만5704건이 접수됐다"며 "접수된 제안은 일차적으로 소관기관에 배분됐으며, 3월 말까지 88.7%에 대한 답변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국민제안 신청인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24%로 가장 많았고, 50대(20.7%)와 20대 이하(19.8%) 순이었다.
특히 이전 분기 대비 청년층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20~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8.1%p 상승(23.5%→31.6%)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경찰·검찰·법원(16.2%), 행정・안전(13.0%), 재정(6.5%), 문화(6.4%)의 순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본 주요 키워드는 이태원⋅코로나⋅경찰서⋅부동산⋅흉악범⋅장애인⋅지원금⋅용산⋅소상공인 등으로 나타나, ▲이태원 참사 및 재발 방지 ▲코로나 마스크 해제 ▲전세 사기 ▲흉악범 거주제한 ▲시위문화 개선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대통령실은 분석했다.
대통령실은 제안 내용에 대한 정책화 검토를 진행했으며 지난해 4분기에 접수된 제안을 전수 점검해 후보과제 405건을 발굴했다.
![]() |
허성우 국민제안센터장이 지난해 4월 2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수능원서 주소지 제한 접수 불편' 개선 검토 관련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국민제안 비서관실 관계자는 "소관기관에서 채택하지 않은 제안이라도 국민의 눈높이에서 다시 점검해,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검토 대상과제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관계 부처 협의 및 민간 전문가 위주로 구성된 '국민제안 심사위원회'를 지난달 30일 개최하는 등 논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15건을 2차 정책화 과제로 채택・추진키로 했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은 "국민 한 분 한 분의 소중한 의견을 성의있게 검토하여 정책으로 반영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생활공감형 소통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국민제안이나 참여토론 등과 같은 소통창구를 운영 중이며, 누구나 국민제안 누리집(https://withpeople.president.go.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