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북한이 지난 10일 오전 '중요보도'를 예고하고도 만 하루 넘게 아무런 발표를 하지 않아 궁금증을 낳고 있다.
특히 이날 노동당 창건 78주년을 맞았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기념행사에 이례적으로 불참했고 그와 관련한 보도도 없는 상황이라 신변 이상 여부 등에 관심이 쏠린다.
![]() |
북한이 노동당 창건 78주년을 맞은 10일 '중요보도'를 예고하고도 아무런 후속 움직임이 없어 관심을 끌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당 창건 기념행사에 이례적으로 불참했다. 사진은 지난 9월 26~27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14기 9차 회의 참석한 김정은(앞줄 왼쪽 네번째) 위원장. 여동생인 김여정(붉은 원) 노동당 부부장의 모습도 보인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11일 오전 6시 첫 보도에서 전날 언급한 '중요보도'와 관련해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중앙통신은 '보도 목록'을 통해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와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의 동상에 당 중앙지도기관 성원들 꽃바구니 진정 ▲조선노동당 창건 78돌에 즈음하여 당 중앙지도기관 성원들 당 창건 사적지 참관 ▲여러 나라의 각계 인사들 우리 나라 대표부들을 축하방문 등 8건의 보도를 내보냈다.
하지만 중요보도라고 볼만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중앙통신은 10일 오전 7시28분께 "중요보도 있음"이라고 짤막하게 밝힌 바 있다.
대북정보 관계자는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통상 북한 관영매체가 '중요보도' 등을 예고하는 건 당일 중대 발표나 조치가 있는 경우"라며 "하루가 지나도록 관련 후속 움직임이 전무했던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런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지면서 김정은의 신변과 관련한 이상설과 당 창건 78주년에 맞춰 정찰위성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의 발사를 준비하다 차질을 빚었을 가능성 등 다양한 관측이 제기된다.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은 "김정은 유고시 권력을 대신할 노동당 제1비서직 임명이나 인공위성 발사 등 정치·군사적 사안 외에도 경제관련 발표 같은 다양한 가능성을 주시했지만 하루가 넘도록 움직임이 없어 의아하다"고 말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