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우리 군의 첫 번째 독자 정찰위성을 오는 3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한다고 밝혔다.
신 장관은 3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국방부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군 정찰위성을 스페이스X의 팰컨9을 이용해 발사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에 발사될 정찰위성은 북한 주요 전략 표적을 감시·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425 사업'의 일환이다.
![]() |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국방컨벤션에서 지난 10월 7일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
국방부는 오는 2025년까지 고성능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와 전자광학(EO)·적외선(IR) 장비 탑재 위성 1기 등 고해상도 중대형 군사위성 5기를 궤도에 쏘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호기에 이어 2호기는 내년 상반기에 발사될 예정이다. 향후 정찰위성 5기가 순차적으로 궤도에 진입하면 우리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미사일기지와 핵 실험장 등 주요시설 정보를 위성을 통해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이 정찰위성 발사 현장을 참관하느냐'는 질문에 신 장관은 "대통령이 참석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아울러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동향과 관련해서는 "식별된 징후로 볼 때 1~2주 안에 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며 "11월 말 정도에는 가능성이 있겠지만 그것도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10월 중 발사하겠다고 밝혔지만 무산된 배경에 대해선 "3단 엔진 보강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보인다"며 "러시아에서 기술 지도가 와서 시간이 지연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