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이 고정밀 해상관측 전용 위성을 발사했다. 중국 관영매체는 위성의 용도를 민간용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 위성은 언제든지 군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 위성은 전세계 주요 항구의 적시 원격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어서, 전세계 군항의 동태를 파악하기에도 용이하다. 이로써 대만해협과 남중국해에서의 중국 군의 전력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은 16일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차세대 해양 관측위성인 해양 3호 01위성을 적재한 창정(長征)2호 로켓을 발사했으며, 이 위성은 예정된 궤도에 안착하는데 성공했다고 중국 과기일보가 17일 전했다.
매체는 이 위성은 세계 최초로 전세계의 다양한 수질을 대상으로, 다양한 관측수단을 보유한 고정밀 해양관측위성이라고 설명했다.
위성은 전세계의 대양과 근해, 해안, 섬, 항구의 수질, 수온, 해빙, 부유물, 생태환경 등 요소에 대한 대규모 연속 감측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주요 해도와 해상 주요지점, 주요항구 등에 대해 실시간 원격감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매체는 이 위성이 글로벌 최정상급 기술을 갖췄으며, 해양 생태환경 보호와 스마트 해양 건설 프로젝트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양 전용 위성은 군사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해상지역에서의 선박 및 항공기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해상 경계선에서의 군사용 정보를 탐지해낼 수 있다. 또한 적함의 이동을 추적해 아군 함정의 안전한 항로를 설정할 수 있다. 해상에서의 군사통신 용도로도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매체는 이번 발사는 창정 계열 로켓이 497번째 발사된 것으로, 조만간 500번째 발사를 앞두게 됐다고 보도했다.
![]() |
16일 중국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해양 관측 전용 위성이 창정 2호 로켓에 탑재돼 발사되고 있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