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왕촨푸(王傳福) 비야디(比亞迪, BYD) 회장이 스마트 드라이브 분야에 1000억위안(한화 약 18조6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을 밝혔다.
왕촨푸 회장은 지난 16일 진행된 자체행사에서 "비야디가 지금껏 차량 전동화를 이뤄냈다면, 이제는 스마트화를 이뤄내야 한다"며 "전기차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드라이브로 승부를 낼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중국 펑파이(澎湃)신문이 18일 전했다.
왕 회장은 "비야디에는 현재 4000여명의 R&D 인력이 스마트 드라이브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으며, 향후 이 분야에 1000억위안을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스마트 드라이브는 자율주행 전(前)단계의 기술"이라며 "자율주행은 현재 법규나 기술성숙도 면에서 상용화되기 어렵지만, 스마트 드라이브는 현재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비야디는 비교적 일찍부터 스마트 드라이브를 개발해 왔다"며 "비야디의 스마트 드라이브는 실제 운전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한다"며 고 소개했다.
비야디가 지난해 판매한 302만대의 자동차 중 자율주행 레벨(L)2급 스마트 드라이브 시스템을 갖춘 차량은 57%를 넘어섰다. 이어 비야디는 L3의 기능을 탑재한 전기차를 속속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올해 10여종의 라이다를 탑재한 고사양 스마트카를 출시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왕 회장은 "비야디의 모델 중 20만위안 이상 가격의 차량에는 스마트 드라이브가 옵션으로 제공될 것이고, 30만위안 이상의 차량에는 기본형으로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비야디는 ▲손바닥 인식 키 ▲차량 탑재 위성통신 ▲스마트 주행보조 시스템 ▲전천후 스마트 주차 ▲차량탑재 무인기 등 자체개발한 스마트 드라이브 기술들을 소개했다.
이 중 손바닥 인식 키는 자동차가 손바닥 모세혈관을 인식해 차량이 개폐되고 시동을 걸게 할 수 있는 기술로, 지문인식보다 더 안전하고 정확하다는 것이 비야디의 설명이다. 차량 탑재 무인기는 차량에 장착된 무인기가 이륙해 전방의 상황을 촬영하거나 차량의 주행 모습을 촬영해 차량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무인기는 자동으로 차량에 이착륙한다.
![]() |
비야디 관계자가 '손바닥키'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펑파이신문 캡쳐 |
![]() |
비야디 관계자가 차량 탑재 무인기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펑파이신문 캡쳐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