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2.3%로 전망했다. 지난 10월 전망 이후 석 달 만에 0.1%포인트(p) 소폭 상향한 것이다.
세계성장률 전망치는 3.1%로 지난 전망 이후 0.2%p 올렸다. 미국과 주요 신흥개도국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진다는 판단이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1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 |
IMF는 매년 연간 4차례 1·4·7·10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는 주 전망이며 1·7월은 주요 30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수정 전망이다.
IMF는 지난 10월 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2%로 제시한 바 있다. 이번에는 10월 전망보다 0.1%p 소폭 상향됐다.
IMF의 성장률 전망치는 우리 정부(2.2%)와 한국은행 전망치(2.1%)보다 높은 수준이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3.1%로 전망했다. 지난 전망 대비 0.2%p 올린 수치다.
그룹별 경제 성장전망을 보면 선진국은 1.5%로 석달 전보다 0.1%p 하락했다. 신흥국 성장률은 4.1%로 지난 전망과 똑같이 제시했다.
IMF는 미국과 중국은 작년 양호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올해도 지난 전망치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는 작년 침체에서 소폭 회복하는 데 그칠 것으로 평가했다. 일본은 작년 성장세를 이끌었던 엔화약세, 보복소비가 정상회되며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세와 물가하락에 힘입어 경착륙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게 IMF의 분석이다.
IMF는 "조급한 통화정책 완화와 지나친 긴축기조 유지 모두를 경계하며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미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재정여력 확충 ▲구조개혁을 통한 생산성 향상 ▲기후변화 대응 등을 강조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