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국제해사기구(IMO)의 국제통합해운정보시스템(GISIS)에 등록됐던 북한 잠수함 13척이 하루 만에 리스트에서 사라져 '없는 선박'으로 안내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정부 대북부처와 군 당국에 따르면 IMO는 지난 27일 북한 해군 소속 잠수함인 '상어2급' 11척과 신포급 '8·24영웅함', 신포C급 '김군옥영웅함' 등 모두 13척을 GISIS에 올렸다.
![]() |
북한이 2023년 9월 6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첫 전술핵 공격잠수함 진수식을 했다. [사진=노동신문] |
하지만 이튿날인 28일 목록에서 사라졌고, 13척의 잠수함에 IMO측이 부여했던 고유 식별번호를 넣고 검색해도 '없는 선박'으로 결과가 나온다.
IMO의 선박 리스트 등록은 선적국가 측에서 요청한데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이 왜 IMO에 잠수함 리스트를 올렸고, 하루 만에 이를 철회했는지는 구체적으로 그 이유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앞서 북한이 군함을 IMO 리스트에 등록한 경우는 몇 차례 있었는데 잠수함 등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때문에 중국‧러시아와의 합동 군사훈련을 위한 것이라는 등의 관측이 대두했으나 북한 측이 즉각 철회함으로써 배경을 둘러싼 이런저런 관측이 나오고 있다.
![]() |
지난 6월 19일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좌)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일각에서는 런던의 북한 대사관이나 국제기구 담당관이 착오로 잠수함 목록을 통보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또 잠수함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치고 빠지기식 조치를 취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는 국가별 잠수함 보유대수와 관련해 북한이 71척을 운용함으로써 미국(68척)‧중국(59척)을 앞서고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