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의 미래기술 연구 자회사인 네이버랩스가 글로벌 로봇 시장 공략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3일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최로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 IITP TECH & FUTURE INSIGHT CONCERT' 행사에서 "디지털 트윈에서부터 AI(인공지능), 클라우드, 머신러닝, OS(운영체제)까지 전체 기술 포트폴리오를 갖춘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네이버랩스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석 대표는 "네이버랩스는 실내외 공간의 정밀한 3차원 모델을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고해상도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를 탑재한 매핑 로봇 M2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자랑한다. 이 로봇은 스캔 데이터를 자동으로 정합하고, 이동하면서 스캔할 수 있으며, 무빙 오브젝트(대상체)를 AI로 제거해 깨끗한 지도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3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최로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 IITP TECH & FUTURE INSIGHT CONCERT' 행사에서 발표 중인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사진=IITP 유튜브 채널] |
또 "네이버랩스는 2만 5000장의 항공 사진으로 서울시 전체를 3차원으로 모델링했으며, XYZ 오차가 10cm 이내로 지금까지 나온 도시 단위 3차원 모델 중 가장 정확하다"며 "이 기술은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시작됐지만, 현재는 홍수 시뮬레이터, 도시 계획, 도시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 주요 5개 도시의 디지털 트윈 구축 계약을 체결했고,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홈 2의 배경으로도 사용됐다"고 전했다.
석 대표는 이어 네이버랩스의 또 다른 핵심 기술인 비주얼 로컬라이제이션에 대해 설명했다. "네이버는 사진 한 장만 찍으면 디지털 트윈 안에서 정확한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비주얼 로컬라이제이션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며 "이 기술은 15cm 이내의 정밀도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실내 내비게이션과 로봇의 자율주행에 활용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기술을 이용하면 비싼 레이저 스캐너 없이도 카메라만으로 로봇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어 가격 경쟁력 있는 로봇을 만들 수 있다"며 "네이버랩스는 알파고 제로가 나오자마자 강화학습을 로봇에 적용, 2021년 6월부터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로봇의 액션, 비전, 인터랙션 분야에 적용하는 11개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 |
3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최로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 IITP TECH & FUTURE INSIGHT CONCERT' 행사에서 발표 중인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사진=IITP 유튜브 채널] |
석 대표는 네이버랩스의 AI 기술 발전 현황을 설명한 후, 5G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로봇 시스템에 대해 언급했다. "5G의 짧은 지연 시간 덕분에 로봇의 대뇌에 해당하는 부분을 클라우드로 옮길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모든 로봇의 지능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네이버랩스는 웹 기반의 로봇 전용 운영체제인 아크 마인드도 개발했다"며 "이는 웹 개발자들이 로봇을 자유롭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로봇 시장을 선도할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제2사옥 '1784'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은 이미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고 있다.
![]() |
3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주최로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 IITP TECH & FUTURE INSIGHT CONCERT' 행사에서 발표 중인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사진=IITP 유튜브 채널] |
석 대표는 "100대의 로봇이 5000명의 직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2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는 대형 로봇들이 서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최근 모건스탠리의 테슬라 휴머노이드 리포트에서 네이버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제공자로 유일하게 언급됐다.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전 세계 로봇 시장을 석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포부를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