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SK하이닉스는 혁신 기술 역량과 D램 기술 로드맵에 대해 조명하는 좌담회를 진행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1c 기술 개발을 주도한 오태경 SK하이닉스 부사장(1c Tech TF), 조주환 부사장(DRAM 설계), 조영만 부사장(DRAM PI), 정창교 부사장(DRAM PE), 손수용 부사장(개발 TEST), 김형수 부사장(DRAM AE)이 참석했다.
![]() |
왼쪽부터 김형수 부사장(DRAM AE), 조영만 부사장(DRAM PI), 오태경 부사장(1c Tech TF), 조주환 부사장(DRAM 설계), 정창교 부사장(DRAM PE), 손수용 부사장(개발 TEST) [사진= SK하이닉스] |
앞서 SK하이닉스는 극도로 미세화된 D램 공정 기술의 한계를 돌파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29일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6세대(1c) 미세공정을 적용한 16Gb(기가비트) DDR5 D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1c 기술은 10나노대 초반의 극미세화된 메모리 공정 기술이다. 1c 기술을 적용한 DDR5의 동작 속도는 8Gbps(초당 8기가비트)로 이전 세대인 1b DDR5보다 11% 빨라졌으며 전력 효율은 9% 이상 개선됐다.
SK하이닉스는 EUV 공정에 신소재를 개발해 적용하는 한편 설계 기술 혁신을 통해 공정 효율을 극대화했으며 원가 절감도 이뤄냈다.
오태경 부사장은"1c 기술 개발을 총괄한 1c 테크 TF의 가장 큰 목표는 1등 개발이었다"며 "우리는 이미 우수성이 증명된 1b 플랫폼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개발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기존의 '테스트-설계-양산 준비'의 3단계 개발 방식을 '설계-양산 준비' 2단계로 효율화했고 커패시터(Capacitor) 모듈과 같은 고난도의 기술 요소를 양산 공정에서 바로 개발하는 방식을 택해 전세대 제품 대비 2개월이나 단축 기술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조주환 부사장은 "최고 경쟁력이 입증된 1b 기술을 경험한 덕분에 기술적 위험도는 줄었으나 작아진 셀 크기와 커진 저항으로 인해 여전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 많았다"며 "회로 밀도와 센싱 성능을 높이는 등 다양한 설계 혁신을 통해 데이터 처리 속도는 높이고 전력 소비는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조영만 부사장은 "1b 플랫폼을 확장하는 방식은 1c 기술의 공정 고도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주효했다"며 "1b의 경험을 바탕으로 1c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해결할 수 있었다. 특히, 트랜지스터 열화와 신규 소재 적용에 따른 품질 리스크를 조기에 발견하고 개선해 미세화된 소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창교 부사장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때 전에 없던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마련"이라며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과거와는 다른 특성들이 더 중요해지고 이로 인해 수율 저하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1c 기술에서 주요 성능의 수준을 높이는 트리밍 기술을 활용해 수율과 품질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가 D램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저력으로는 좌담회 참가자 모두 '유기적인 협업'과 '원팀(One Team)' 정신을 꼽았다.
오 부사장은 "TF 운영을 비롯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부터 플랫폼 기반 개발, 조기 양산 팹 운영 전략 등 다방면에 혁신이 더해지며 SK하이닉스의 기술 개발 역량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며 "무엇보다 구성원들의 원팀 정신이 모든 성과를 견인했다"고 밝혔다.
정 부사장도 "1c 기술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원팀 문화였다. '최초'라는 타이틀에 따라오는 많은 기술적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각 조직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문제를 조기 발견했고 해결했기 때문"이라며 "DRAM PE 조직이 스크린 최적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설계 및 공정 조직과의 긴밀한 협업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연내 1c DDR5의 양산 준비를 마치고 내년부터 시장에 제품을 본격 공급할 계획이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