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경제

KAIST, 원형 RNA의 mRNA 안정성 조절 메커니즘 규명

기사등록 : 2024-12-18 08: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인위적 원형 RNA로 mRNA 양 조절 가능성 증명
라이보텍과의 협력으로 신약 개발 가속화 기대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교내 연구진이 원형 리보핵산(RNA)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는 RNA 백신의 효율 극대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명과학과 김윤기 교수 연구팀에 의해 진행됐다.

원형 RNA를 통한 표적 mRNA 발현 억제 기전 모식도 [자료=한국과학기술원] 2024.12.18 biggerthanseoul@newspim.com

연구팀은 원형 RNA가 세포 내 특정 메신저리보핵산(mRNA)의 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으며, 이는 세포가 양과 질을 엄격히 관리하는 mRNA 품질 관리 기전인 '논센스 돌연변이 매개 mRNA 분해(NMD)'에 기초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원형 RNA가 표적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인위적으로 제작된 원형 RNA를 통해 세포 내 특정 mRNA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다양한 질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어, 관련 기업인 라이보텍과의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을 통해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1일 자 국제전문학술지 '몰레큘러 셀'에 온라인으로 발표됐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