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한국과 미국 공군이 올해 첫 대대급 연합공중 훈련을 통해 실전적인 작전 능력과 팀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한미 공군은 지난 21일부터 오는 24일까지 일정으로 공군 원주 8전투비행단에서 올해 첫 쌍매훈련(Buddy Squadron)을 하고 있다.
쌍매훈련은 한미 공군이 각자 공중전력을 한반도 공군기지에 교대로 전개하는 대대급 연합공중 훈련이다.
![]() |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Buddy Squadron)에 참가한 한미 전투조종사들이 지난 21일 원주기지에서 항공기 탑승을 위해 함께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군] |
1991년 우정훈련으로 처음 실시됐다. 1997년부터는 '쌍매훈련'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번 훈련에는 한국 공군 8전비 FA-50 경공격 전투기와 KA-1 공중통제공격기가 참가하고 있다.
미 공군은 주한 7공군사령부 51전투비행단 전차 킬러인 A-10 공격기 등이 참가하고 있다.
![]() |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Buddy Squadron)'에 참가한 한미 공군 전투조종사들이 지난 21일 공군 원주 8전투비행단에서 비행 임무 전에 항공기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공군] |
지난 21일 원주기지로 전개를 마친 미 공군 조종사들은 국지 절차와 안전·보안 교육을 받고 있다.
국지절차는 공군기지마다 지리적 특성과 환경이 달라 항공기 조종사들이 안전 비행을 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받는 적응 교육이다.
![]() |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Buddy Squadron)'에 참가한 한국 공군 8전투비행단 FA-50 경공격 전투기가 원주기지 활주로를 박차고 힘차게 이륙하고 있다. [사진=공군] |
한미 조종사들은 근접항공지원(CAS)과 해상전투초계(SCP) 임무 등 실전적 훈련을 통해 연합작전 능력을 높이고 팀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8전비 FA-50 조종사 윤필상 소령은 "한미 조종사들이 서로 임무 환경을 이해하고 전술 노하우를 공유해 나가고 있다"면서 "한반도 영공을 함께 지키는 전우로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다져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 |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Buddy Squadron)'에 참가한 한국 공군 8전투비행단 KA-1 공중통제공격기가 21일 원주기지 활주로를 힘차게 이륙하고 있다. [사진=공군] |
특히 올해 한반도에서 퇴역을 앞두고 있는 A-10 선더볼트(Thunder Bolt)의 쌍매훈련 참가는 이번이 마지막이다.
주한 미 7공군사령부 51전비 25전투비행대대 A-10 공격기 조종사인 오스틴 리베라 대위는 "한국 공군 원주기지로 전개해 8전비와 함께 쌍매훈련을 할 수 있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 |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Buddy Squadron)'에 참가한 주한 7공군사령부 51전투비행단의 A-10 공격기가 21일 이륙하기 위해 활주로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미국 공군] |
리베라 대위는 "한국 공군과 협력을 강화하고, 함께 쌓아온 파트너십 가치를 더욱 높여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