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과 충남이 행정통합을 통해 세계적인 과학기술 혁신도시를 만든다. 이를 위한 행정통합 특별법안은 올 상반기 내로 양 시도에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23일 충남도에 따르면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민관협)은 이날 도청 대회의실에서 2차 회의를 열고 행정 통합 비전과 특별법, 홍보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 |
23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민관협)은 2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2025.01.23 nn0416@newspim.com |
민관협은 이날 '대한민국 경제과학수도, 대전충남특별시'를 미래 비전으로 내놨다.
목표는 ▲미국 실리콘밸리 같은 기술 혁신 상징으로 도약 ▲충남의 '반도체·모빌리티'와 대전의 '우주·로봇·바이오' 등 첨단산업 집적화로 '세계 5위권 글로벌 도시 육성' 등이다.
민관협은 올해 상반기 내 특별법안을 마련해 양 시도에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중앙 권한 대폭 이양을 목표로, 미래 발전 비전 확정 후 실질적으로 지방에 필요한 권한을 엄선해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별법 주요 내용에는 교부세 특례·지방채 발행 특례 등 자치 재정, 자치 조직, 부단체장 정수·소방·경찰 운영 등 인사, 자치 감사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
또 시도민과 미래상을 공유하고, 관심과 이해도 제고를 위한 홍보는 특별법 통과 때까지 추진할 방침이다.
홍보 활성화를 위해 민관협은 권역별 설명회, 유관 단체 간담회, 국회토론회, 포럼 등을 개최하고, 언론 및 뉴미디어 홍보도 중점 추진한다.
이창기·정재근 민관협 공동위원장은 이날 2차 회의 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산업·경제, 도시개발, 농어업, 해양수산, 자치재정, 자치조직·인사 등 특별시가 필요로 하는 권리를 중앙에 적극 요구할 것"이라며 "향후 기획분과위원회 주도로 통합 법률안을 마련하고, 민관협의체 전체회의를 추진해 완성도 높은 통합 특별법안을 구성, 시도에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또 "현행 지방자치제는 1987년 개정 헌법을 근거로 마련해 지방자치 및 행재정적 측면에서 많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행정통합을 통해 현행 지방자치를 업그레이드 하는 기회로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