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조차장 이전이 최종 결정됐다. 대전시는 기존 부지에 청년 창업 등 지역 성장 거점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열고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에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철도 지하화 우선 추진사업을 발표했다.
![]() |
대전 조차장 부지개발조감도. [사진=대전시] 2025.02.19 nn0416@newspim.com |
추진사업에는 대전과 부산, 안산이 선정됐다. 대전은 대덕구 읍내동에 위치한 대전조차장을 교외로 이전하고, 기존 부지 약 38만m2에는 청년 창업과 IT 산업 등을 위한 도심 내 신 성장거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1조 4000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다만, 당초 대전시가 함께 추진하려 했던 대전역 통합개발사업은 이번에 선정되지 못했다.
정부는 올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청년창업지구, 빅테크, 미디어 등 IT 관련 특화지구 등을 구상해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 대전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공간으로 재창조하겠다는 목표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연말 사업 시행방안발표에서 우선 사업 추진을 위해 국가철도공단 내 자회사를 올 하반기에 신설해 전담 기관으로 지정, 기본계획 등 업무를 수행하고 통합계정을 통해 지역 간 교차보전이 가능해지도록 명문화했다.
![]() |
대전 조차장 전경. [사진=대전시] 2025.02.19 nn0416@newspim.com |
또 철도 지하화 사업에 지자체·공기업까지 상부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앞으로 국토부는 1차 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에 한해 지하화특별법에 따라 인공지반 조성과 데크화 등을 포함한 지하화부분은 국토부가, 철도부지개발사업은 지자체장이 기본계획에 착수하게 할 계획이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선정으로 지역 숙원사업을 해결하고,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재구조화해 대전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원도심의 활력 회복 및 도시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며 "대전역 통합개발사업은 이번 1차 사업으로 선정되지 않았지만 사업계획을 보완해 철도지하화통합개발 종합계획 수립에 포함시켜 장기적으로 추진토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