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지자체

전북 '체류형 관광지' 도약…올해 1억명 방문 목표

기사등록 : 2025-02-21 10: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북 평균 체류 시간 2784분...전국 광역지자체 평균보다 410분 더 길어
관광객이 전북 찾은 주된 이유 '음식'이 43.7%...미식관광 브랟드화 추진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자치도가 한국관광공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북을 찾은 방문객 수가 9864만 명에 이르며 전년 대비 0.3%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연도별 방문객 수는 8332만 명(2021), 9495만 명(2022), 9833만 명(2023)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관광공사는 이를 이동통신사와 신용카드 업체 데이터를 활용해 발표하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 전경[사진=뉴스핌DB]2025.02.21 lbs0964@newspim.com

전북의 평균 체류 시간은 2784분으로, 전국 광역지자체 평균보다 410분 더 길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3위에 해당하며 전북이 당일 관광을 넘어서는 체류형 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이에 맞춰 올해 방문객 1억 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북야행' 야간 관광 특화도시 조성, 미식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콘텐츠 확대를 통해 관광 수요를 더욱 끌어올릴 계획이다.

관광객이 전북을 찾은 주된 이유로는 '음식'(43.7%)이 가장 많았으며, 기타 관광(13.0%), 숙박(11.8%), 문화관광(10.6%) 순으로 분석됐다.

이에 도는 미식 관광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14개 시군의 특색을 살린 음식 관련 관광 상품을 개발할 계획을 세웠다. 더불어 음식과 연계한 스토리텔링 관광 코스를 마련해 방문객들의 체류 시간을 늘릴 방안을 구상 중이다.

외국인 관광객도 증가세를 보여, 2024년 전북 방문 외국인이 234만 명을 넘겼다. 군산(101만 명), 전주(63만 명), 익산(24만 명), 완주(20만 명), 김제(11만 명) 등이 주요 지역으로 나타났다.

전북자치도는 이를 바탕으로 중국, 일본, 베트남 등지를 대상으로 한 해외 홍보 활동을 강화해 외국인 방문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신용카드 소비는 73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3% 감소했다. 이는 고금리와 물가 상승 등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비교적 양호한 실적으로 평가된다.

이정석 전북자치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국내외 관광 홍보마케팅을 강화해 방문객 1억 명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새로운 관광지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전북 관광의 지속 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