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

에코프로, NCA 판매량 30만톤 돌파…K-양극재 위상 강화

기사등록 : 2025-08-17 11:1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NCA 전동공구서 전기차·ESS용으로 진화
누적 공급량 30만톤·전기차 300만대 분량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에코프로는 올해 상반기까지 이차전지 사업 초석인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 제품 누적 판매량이 약 30만톤(t)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약 300만 대의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이다.

에코프로는 2008년 처음 NCA 양극소재 상업 생산을 시작한 이후 2021년까지 전동공구와 전기자전거용으로 약 10만 톤의 NCA 양극재를 판매했다. 2022년 이후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며 약 20만 톤의 NCA 양극재가 판매됐다.

2015년 3월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왼쪽 네 번째)이하 에코프로 임직원이 소니와의 장기공급 계약 체결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에코프로]

NCA 양극재는 에코프로가 2004년 처음 이차전지 사업을 시작한 이후 가장 먼저 개발에 나선 양극재 제품이다.

NCA 소재는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소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20~30%가량 높지만 공정이 까다로워 기술장벽이 높다.

일본이 주도하고 있던 이차전지 시장에서 토종기업으로 출사표를 던진 에코프로는 개발에 필요한 장비를 직접 만드는 방식으로 기술 내재화를 이뤄왔다. 2005년 전구체 설비 준공에 이어 2006년 제일모직으로부터 양극재 사업을 인수하며 본격적인 NCA 양극재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다.

에코프로의 NCA 양극소재 개발 역량이 한 단계 올라선 건 당시 세계 1위 이차전지 업체였던 일본 소니의 기술지도의 역할이 컸다. 

당시 소니는 충북 오창에 기술진을 파견해 금속이물을 제거하고 양극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반응 리튬을 낮춰달라고 요청했다. 미반응 잔류리튬은 양극재 성능을 떨어뜨리는데 니켈 함량이 80% 이상일 경우 통상 잔류리튬 수준은 1만ppm(1%) 수준이다.

소니는 이를 2000ppm(0.2%)으로 낮춰달라고 요청했다. 에코프로 연구진은 관련 기술에 대한 논문, 특허 등을 다각도로 찾아보고 동시에 다양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해당 제품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소니의 기술 지도를 거치며 에코프로의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기술은 빠르게 고도화했고 2013년 소니에 6톤의 배터리 양극소재를 시험 공급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2015년 에코프로의 품질 수준이 업그레이드 되는 것을 지켜본 소니가 에코프로의 기술력을 인정하며 장기공급 계약으로도 이어졌다.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는 "당시 소니가 요구했던 것은 세상에 없는 하이니켈 NCA였다"며 "NCA의 단점을 모두 개선할 수는 없었지만 도전적으로 연구 개발해 왔던 수백 개의 시제품을 바탕으로 단기간에 고객을 다변화할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aykim@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